울산시가 3번째 규제자유특구 지정 도전에 나선다.
울산시는 오는 11월 예정된 정부의 4차 규제자유특구 공모에 도심항공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를 신청키로 하고 현재 준비 중이라고 9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미래형 모빌리티 결정판인 개인용 자율비행체(Personal Air Vehicle,PAV)의 국내 실증 사업을 울산에 유치하기 위해 현대차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울산시가 도심항공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되면, 수소 그린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 게놈서비스산업 규제자유특구와 함께 ‘트리플 규제자유특구’를 완성하게 된다.
울산의 경우 현대자동차 주력공장 등 연관 산업이 받치고 있고, 수소 그린모빌리티 특구와 연계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이점 등이 있다.
현대자동차는 올해초 오는 2028년 플라잉카 사업 상용화를 선언한데 이어 우버와 PAV 기술개발에 전략적 협력을 강화 하는 등 세계시장 선점에 적극 대응 중이다. 도심항공모빌리티를 실증하기 위해 법과 제도의 규제를 풀어야하는데 규제자유특구로 해결하면 된다.
울산시는 내년 초 도심항공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될 경우 실증을 위한 PAV 이·착륙장 등 플랫폼은 태화강역 일대로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태화강역은 동해남부선 전철 개통을 앞두고 있는 등 철도, 육상, 해상교통 연결이 용이하기 때문에 PAV를 더하면 육해공 모빌리티 플랫폼을 완성할 수 있다.
울산시는 2023년까지 142억원을 투입해 PAV 핵심부품 실용화를 위한 플랫폼 구축도 추진한다. 울산과학기술원이 주관하는 이 사업의 핵심은 인공지능(AI) 기반의 PAV 자율운항 시스템 원천 기술 개발이다.
울산시는 이를 위해 지난 4월 울산연구원에 맡겨 미래형 개인비행체 산업 육성 방안을 연구하고 있으며,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 지역혁신성장산업 선정을 요청해 놓고 있다.
울산시 관계자“ 울산은 풍부한 제조 기술 기반을 바탕으로 울산과학기술원의 PAV 기술개발 연구진과 산학연 협력을 구축, 미래 모빌리티 산업 생태계를 조성해 지역 중소기업의 신성장 동력 확보를 도모하겠다”고 말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
울산시 하늘 나는 자동차 선도 3번째 규제자유특구 도전
입력 2020-07-09 1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