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지난달 16일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한 뒤 일촉즉발 위기로 치닫던 남북 관계는 지난달 24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대남 군사행동 보류를 지시하면서 군사적 긴장이 일부 완화되긴 했지만, 접경지역에서의 충돌 위험은 여전한 상황이다.
북한은 지난달 4일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 담화에 이어 5일 통일전선부 대변인 담화를 통해 대북전단 살포 및 이에 대한 우리 정부의 대응을 강력 비난했다. 그러더니 조선중앙통신은 지난달 9일 “북남 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해 유지해 오던 북남 당국 사이의 통신연락선, 군부 사이의 동서해통신연락선, 통신시험연락선, 노동당 중앙위원회 본부청사와 청와대 사이의 직통통신연락선을 완전 차단·폐기한다”고 밝혔다.
남북 군 통신선은 동해·서해지구 통신선과 해상 함정 라인 등 3개 채널로 가동되고 있었다. 동해지구 통신선은 2010년 11월 산불로 소실됐다가 2018년 8월 복구됐다. 서해지구 통신선은 2016년 2월 개성공단 폐쇄와 함께 단절됐다가 2018년 7월 재개됐다. 해상 함정 간 국제상선공통망(핫라인)은 2008년 5월 단절된 뒤 2018년 7월 정상화됐다. 2018년 4·27 판문점선언과 이후 남북장성급 군사회담의 합의 사항을 이행하는 차원이었다.
남북 군 당국은 통신선이 복구된 뒤 매일 오전 9시, 오후 4시 하루 2회 통신 상황을 점검했었다. 이들 통신선은 접경 지역 등에서 우발적 군사 충돌이 있을 때 확전을 방지하는 최소한의 ‘안전판’ 기능을 해왔다. 안전판이 한 달 간 사라진 셈이어서 접경 지역의 군사적 긴장도가 그만큼 고조돼 있을 것이라는 게 군 안팎의 시각이다.
김정은 위원장이 대남 군사행동 계획을 ‘보류’한 것이지 ‘취소’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상황 변화에 따라 북한이 언제든 도발에 나설 수 있다는 우려도 여전하다. 한 군 관계자는 7일 “접경 지역에서 우발적인 충돌이 발생하면 현재 경고 방송 외에는 특별한 통신 수단이 없다”며 “남북 관계가 악화됐고 접경 지역 병사들의 긴장도도 높아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