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서울 도심과 한강, 산업단지 일대가 나무 3000만 그루로 덮인다. 2050년 시내 휘발유·경유 차량이 사라지고 전기·수소차가 거리를 달린다. 신축건물은 온실가스 배출 없는 ‘제로에너지건물’로 짓는 게 일상화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같은 ‘서울판 그린뉴딜’ 구상을 8일 발표했다. 2050년까지 서울시를 청량한 ‘탄소배출 제로 도시’로 만들겠다는 청사진이다. 동시에 2022년까지 2조6000억원을 들여 2만6000개 녹색일자리 창출에 나선다.
건물과 수송, 도시 숲, 신재생에너지, 자원순환 등 5대 부문을 집중적으로 손본다. 온실가스 배출 3대 주범인 건물과 수송, 폐기물의 배출량을 줄이고, 그래도 배출된 온실가스는 도시 숲으로 흡수하도록 한다.
우선 2050년까지 서울 전역에서 내연기관차가 다닐 수 없도록 정부와 국회에 법 개정을 건의한다. 일단 2035년부터 서울시에 전기차나 수소차 등 친환경 차량만 등록할 수 있도록 하고, 서울 사대문 안 도심에서는 아예 내연기관차를 운행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어 2050년부터는 내연기관차 운행 금지구역을 시 전역으로 확대하겠다는 구상이다. 박 시장은 “30년 뒤부터 서울 시내에는 배출가스 제로 차량만 오갈 수 있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법 개정만 되면 내연기관차 전면 퇴출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노르웨이와 영국, 프랑스 등 각국이 2040년까지 내연기관차의 판매와 등록을 금지하기로 했고, 한국 정부는 2040년까지 신차 전기·수소차 비율을 80% 이상으로 높이겠다고 했다는 게 근거다.
하지만 칼자루를 쥔 정부와 국회에서 서울시 제안을 그대로 받아들일지는 미지수다. 박 시장은 “모든 과정이 원만하게 될 것으로 생각하지는 않는다”며 “다만 (앞선 설문조사에서) 60%가 넘는 사람들이 내연기관차 등록 금지정책에 동의한 만큼 시민 의견을 들어가며 해결해 나가겠다”고 했다.
아울러 서울시는 2022년까지 경로당과 어린이집, 보건소 등 취약계층이 많이 이용하는 노후 공공건물 241곳을 ‘제로에너지건물(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건축물)’ 수준으로 리모델링한다. 또 내년부터는 연면적 1000㎡ 이상 시 공공건물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제한하는 ‘건물온실가스총량제’를 도입하고 관련법을 개정해 2022년부터 민간건물에도 단계적으로 도입하기로 했다.
서울 시내 ‘3000만 그루 나무심기’를 2022년까지 마무리한다. 강남·강북권 1곳씩에 총 12만㎡ 규모 ‘바람길 숲’을 조성하고 한강 옆에는 29만5000㎡ ‘한강 숲’을 만든다. 아울러 하천변을 따라서 40만3000㎡ ‘하천 숲’, 산업단지 주변에 3만㎡ ‘미세먼지 차단 숲’, 세종대로를 따라서 3000㎡ ‘가로 숲’을 조성한다.
2025년까지 ‘생활폐기물 직매립 제로화’에 도전한다. 별도 처리 과정 없이 쓰레기봉투째로 땅에 파묻는 일이 없도록 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겠다는 뜻이다. 하루 처리용량 500t 규모 자원회수시설(소각장)을 신설하고, 기존 4개 시설 처리용량을 늘릴 방침이다.
화석·원전 에너지를 대체하기 위한 태양광시설도 늘린다. 공공(상하수도시설, 도시철도시설, 공영주차장, 도시고속화도로, 방음벽, 학교 등)과 민간(건물, 공동주택, 전통시장, 대형마트, 주차장 등)의 모든 시설물을 대상으로 태양광 설치가 가능한 부지를 발굴하고, 민간 태양광 보급 확대를 위한 지원대책을 강화할 방침이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