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대졸자 절반 고향 떠나 경제손실 3000억원대

입력 2020-07-08 08:54

광주·전남지역 대졸자들이 취업을 위해 해마다 절반 이상 고향을 떠나 연간 3000억원대의 경제력 손실을 불러온다는 분석이 나왔다. 광주전남연구원(광전원)이 수도권 등으로 일자리를 구하러 빠져나가는 청년층 영향을 분석한 연구결과를 처음 제시했다.
8일 광전원에 따르면 임형섭 선임연구원이 ‘광주전남정책브리프(Brief)’ 발간을 통해 해마다 심화되는 청년인구 유출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손실규모 등을 구체적으로 분석했다.
이번 연구결과 지난해 광주 청년 유출률은 21.2%로 7개 특·광역시 가운데 2위를 기록했다. 전남 역시 22.1%로 도 단위 광역단체 중 강원도 다음으로 높았다. 광주 대졸자가 지역 내에서 취업하는 경우는 51.3%에 불과했으며 전남 대졸자도 지역내 잔존율이 35.8%에 머물렀다. 광주는 2명 중 1명, 전남은 3명 중 2명이 일자리를 찾아 고향을 스스로 떠나는 셈이다.
광주·전남지역은 대졸자들의 타 지역 취업율이 높은 ‘청년층 지역정착의 취약성’이 고질화되면서 경제적 손실도 늘고 있다.
청년인력의 유출로 인한 광주지역 경제적 손실은 2014년 1127억원, 2015년 2304억원, 2016년 2969억원, 2017년 1973억원, 2018년 2150억원으로 추산됐다. 전남은 2014년 1476억원, 2015년 1477억원, 2016년 993억원, 2017년 846억원, 2018년 1117억원으로 파악됐다. 2018년의 경우 광주·전남에서만 총 3267억원의 경제적 손실이 청년인구의 유출에 따라 발생했다는 것이다. 경제적 손실은 소비와 생산, 외부효과 등 3가지 측면을 고려해 분석했다. 지역내총생산(GRDP)에 비교할 때 광주는 0.5~0.8%, 전남은 0.1~0.2% 수준이다.
광전원은 지역 청년 유출을 막기 위한 좋은 일자리 확대와 지역청년 고용의 구조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뿌리인 광주·전남지역의 제조업·서비스업 확대와 함께 주력산업 전문화를 앞당겨 청년인력의 수도권 편중을 막아야 한다는 것이다.
공공기관 등 청년층이 선호하는 일자리를 더 많이 제공해 지역 정착을 유도해야 한다는 의견도 내놓았다.
이밖에 근로시간과 고용안정성, 일과 생활의 균형, 산업안전 등 양질의 취업조건을 제고하고 직업 교육훈련과 청년 취업률을 높이는 대학과의 산학협력 체계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임형섭 선임연구원은 “광역 지자체 간 산업구조·취업기회의 차이로 지역 청년층이 타 지역으로 떠나는 게 일상화되고 있다”며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서는 청년층에게 적합한 일자리를 전략적으로 더 많이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