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슈퍼부양책 효과…“코로나에도 빈곤 줄었다”

입력 2020-07-07 18:30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언론 브리핑에서 신규 고용 및 실업률 수치를 설명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미국에서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실업률이 치솟았음에도 불구하고 취약 계층의 생계 타격은 과거 금융위기 때보다 작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정부가 시행한 대규모 경기부양책 효과로 분석된다.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6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대·노트르담대 연구진이 발표한 논문을 인용해 미국의 최근 실업률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상회하는 수치를 기록했지만 빈곤 수준은 감소했다고 보도했다.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의 의류 매장에서 한 여성이 옷을 고르고 있다. 미국 시카고대와 노트르담대 연구진은 코로나19 여파로 미국의 실업률이 2008년 금융위기 때보다 높아졌지만 빈곤율은 떨어졌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AP연합뉴스

통상 경기 침체는 빈곤 증가로 이어진다. 지난 2일 발표된 일자리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6월 실업률은 11.1%로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 높게 나타났다. 미 인구조사국의 최근 조사에선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때때로 혹은 종종 먹을 것이 충분치 않다고 느낀다는 미국인이 이전보다 2% 포인트 늘었다. 임대료를 낼 수 없는 미국인은 계속 늘고 있고 더 많은 사람들이 구글에 ‘파산’을 검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기침체가 급격한 빈곤 증가로 이어지지는 않았다는 게 논문의 주된 내용이다. 특히 코로나19가 급격히 확산한 4, 5월의 빈곤 수준은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그 이유로 정부의 재정 정책을 꼽았다. 미 정부는 지난 3월 2조2000억달러(약 2700조원)에 달하는 초대형 경기부양패키지법을 마련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때 시행된 경기부양책의 2배 규모다. 경기부양패키지법은 1인당 최대 1200달러(약 143만원) 지급, 주당 600달러(약 71만원)의 추가 실업급여 제공 등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코노미스트는 “주당 600달러의 추가 실업급여는 일부 구직자들이 이전 직장에서 번 월급보다 더 많은 금액”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주당 600달러의 추가 실업급여 지급은 이달 말 종료된다. 이 때문에 올 하반기까지 실업률이 떨어지지 않으면 빈곤율이 급격히 증가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