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래서 강남불패”…다주택 여당의원 최애지역은 강남·서초

입력 2020-07-07 16:49 수정 2020-07-07 19:34

대세는 서울이다. 더불어민주당 다주택 의원들이 보기에는 그렇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이 7일 발표한 투기지역 투기과열지구 조정대상지역 내 2주택 이상 보유 국회의원 등 현황에 따르면 해당 지역 내 다주택자 20명 국회의원 중 14명이 서울 내 아파트 또는 오피스텔을 소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상당수는 지역구가 서울 외 지역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강남구와 서초구가 대세를 이뤘다. 윤관석(인천 남동구을) 임종성(경기 광주시을) 김홍걸(비례) 양정숙(비례) 의원이 강남에 부동산을 소유했다. 김홍걸(비례) 양정숙(비례·2채) 의원은 서초구에도 부동산을 뒀다.

지역구가 아님에도 서울 내 부동산을 소유한 의원도 많았다. 강선우(서울 강서갑) 의원은 종로구에 부동산을 뒀다. '수축사회'의 저자로 유명한 홍성국(세종시갑) 의원은 도봉구와 종로구에 집을 뒀다. 김주영(김포시갑) 의원도 강서구와 영등포구에 부동산을 뒀다. 임종성(경기도 광주시을) 의원은 강남구에 이어 송파구에도 집을 뒀고 윤준병(정읍 고창군) 의원은 은평구와 마포구에, 김회재(여수시을) 의원은 송파구와 용산구에 부동산을 뒀다. 조정훈(비례) 의원은 용산구에 부동산을 2채 뒀다.

경실련은 최근 자신의 지역구인 대전 서구 아파트를 처분해 한 주택자가 된 박 모 의원도 다주택자 통계에 집어넣어 발표했다. 그는 서초구에 40년 산 아파트를 두고 있다. 그 통계에서 이들 21명 의원의 부동산 신고액은 1인당 평균 18억7000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아파트와 오피스텔 시세는 지난달 기준 2016년 3월 시세보다 49% 폭등해 5억원이 증가했다. 다만 당시 무주택이었다가 당선을 전후해 주택을 구매한 의원도 있어 그 차액만큼 벌어들였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이들은 저마나 나름대로 이유로 서울에 집을 뒀다. 앞서 민주당 3선 국회의원 출신인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은 서울 서초구 반포동의 집과 청주의 집 중 청주 집을 매각해 1주택자가 됐다. 아들이 실제로 거주하는 만큼 팔기가 어려웠다는 후문이다.

하지만 정부가 다주택자에 대한 대출 규제와 종합부동산세 강화 정책 등을 펼치고 있는 중 다주택을 소유함은 부적절할 수 있다. 민주당은 21대 총선에서 2년 안에 1채만 남기고 나머지를 처분하겠다는 서약서를 받은 바 있다. 경실련은 "문재인 정부 3년 서울 아파트값이 평균 한 채당 6억원에서 9억원으로 3억원 가량, 52% 폭등했다"며 "집권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부동산 거품 제거와 투기 근절에 앞장서야 함에도 스스로 투기세력이 돼 부동산 개혁에 반대해왔다"고 밝혔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