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을 대폭 강화한다. CCTV에 포착된 야생멧돼지를 인공지능(AI) 기술로 식별한 후 지방자치단체에 자동으로 통보하고, 열화상 카메라로 ASF 집단 감염 가능성을 진단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ICT를 활용한 ASF 상시감시체계 구축사업을 추진 중이라고 7일 밝혔다. 멧돼지가 위험지대에 서식한다는 점을 고려해 수색 작업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얻겠다는 목표다.
사람 출입이 어려운 지역에는 CCTV를 설치한다. 영상에 담긴 멧돼지를 자동 식별하고 실시간 이동 통보 시스템까지 연계한다는 구상이다. 스마트폰 카메라가 사람 얼굴(피사체)을 자동 인식하듯 CCTV에 찍힌 야생동물이 멧돼지로 확인되면 지방자치단체에 즉시 통보하는 식이다.
이를 위해 환경부는 산하기관과 야생동물 이미지 자동분류 프로그램을 개발 중이다. 멧돼지 식별에는 AI 딥러닝 기술을 접목한다. 6개월 이상 CCTV에 멧돼지가 포착되지 않으면 관찰 지점을 옮겨 시간·비용을 절약한다.
광역 울타리를 설치하기 어려운 구간에는 무선전송 센서카메라를 구축한다. 멧돼지 포착 빈도가 높은 곳에는 포획장을 설치할 예정이다. 광역 울타리 안에서는 일반 센서카메라로 멧돼지 서식 밀도와 행동 패턴을 분석한다.
열화상 카메라로 ASF 감염 가능성을 진단하는 기술도 개발 중이다.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내 주요 멧돼지 출몰 지역에 열화상 카메라를 설치하고 주·야간 멧돼지 체온 변화를 관찰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이후 임야에서 포착한 멧돼지 체온 변화를 분석해 패턴이 다르다고 판단되면 ASF 감염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집단 감염을 파악하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이 밖에 광역 울타리 안팎의 접근·회피 동물도 관찰해 생태계 단절 영향을 분석하고 대책을 마련한다. 사향노루·산양 등 멸종위기종의 이동 단절을 최소화하려는 조치다. 환경부는 “정밀한 모니터링을 위해 CCTV·무인센서카메라 등 약 390대의 장비를 도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세종=최재필 기자 jp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