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7일 고(故) 최숙현 트라이애슬론 선수 사건과 관련해 “체육계의 폭행, 성폭행 등의 사건들의 피해자 대부분이 여성 선수들이다. 여성 체육인 출신 차관이 보다 더 큰 역할을 해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 마무리 발언을 통해 “이번이 불행한 사건의 마지막이 돼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고 윤재관 부대변인은 서면브리핑을 내고 전했다. 특히 문 대통령이 최 차관을 직접 거명한 것을 두고 질책성 발언이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앞서 문 대통령은 최 차관 임명 당시 국가대표 선수 출신이야말로 현장에서 선수들의 인권 보호를 위해 힘써줄 수 있다고 직접 참모진들에게 설명했다고 한다.
문 대통령은 “체육계 각종 부조리에 대해서 문체부가 빠르게, 그리고 적극적으로 이를 바로잡는 역할을 해야 한다”며 “국민께 신뢰를 확실하게 심어주기 바란다”고 주문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모두발언에서도 “최근 체육계 폭행 사건이 사회적으로 큰 공분을 일으키고 있다. 모두에게 사랑받아야 할 선수가, 극단적 선택에 이르게 된 것이 매우 안타깝고 가슴 아프다”고 했다. 이어 “선수에 대한 가혹행위와 폭행은 어떤 말로도 정당화될 수 없는 구시대의 유산”이라며 “체육계는 관행적으로 이어져 온 낡고 후진적인 행태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메달이 최고의 가치가 아니다. 성적이 선수의 행복보다 중요하지 않다”며 “다시는 이와 같은 불행한 사건이 반복되어서는 안 된다. 철저한 조사를 통해 합당한 처벌과 책임이 뒤따라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