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청 트라이애슬론 팀은 감독과 특정 선수만의 왕국이었습니다.”
고(故) 최숙현(23) 선수의 동료들이 6일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전 경주시청 트라이애슬론팀 김규봉 감독과 주장 장모씨, 팀닥터 안모씨의 추가 폭행·폭언 사실을 증언했다. 반면 가해자로 지목된 이들은 같은 시간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상임위원회의 긴급 현안 질의에 참석해 가해 사실을 전면 부인했다. 대한철인3종협회는 이날 김 감독과 장씨에게 영구제명 징계를 확정했다.
피해 선수들이 처벌 1순위로 지목한 건 장씨였다. 선수들은 “장씨는 숙현 언니를 정신병자라며 가깝게 지내지 못하게 했다”며 “몰래 방에 들어와 휴대폰 잠금을 풀고 카카오톡을 읽었으며, 자신과 사이가 나쁜 사람과 연락하지 못하게 했다”고 밝혔다. 한 선수는 “고소공포증이 있는 제 멱살을 잡고 옥상으로 끌고 가 ‘뛰어내리라’ 협박했다”며 “감기몸살에 걸렸을 땐 훈련하지 않았다고 선배를 시켜 각목으로 폭행해 피멍이 들었다”고 증언했다.
안씨의 성추행 의혹도 제기됐다. 선수들은 “팀닥터가 심리치료를 이유로 가슴과 허벅지를 만지는 등 성적 수치심을 느끼게 했다”고 했다. 진술서에 따르면 안씨는 한 선수의 뺨을 때리다 “내가 널 얼마나 예뻐했는데”라고 말하며 볼에 뽀뽀하기도 했다. 수영 동작을 가르친다며 “남자친구를 안을 때처럼 끌어안으라”고 했다는 내용도 있다.
김 감독의 폭행은 더 구체적이었다. “빵 20만원어치를 토하도록 먹게 했다” “담배를 입에 물리고 뺨을 때려 고막이 터졌다” “청소기를 던지고 쇠파이프로 머리를 때렸다”는 증언이 나왔다. 한 선수는 “김 감독이 고등학생 선수들에게 술을 먹인 뒤 ‘토하고 와서 마시라’고 했다. 바닥을 기며 봐달라고 했지만 웃기만 했다”고 말했다.
문제를 제기할 수도 없었다. 이들은 “경주경찰서 참고인 조사에서 담당 수사관이 ‘최씨가 신고한 내용이 아닌 자극적인 진술은 더 보탤 수 없다’며 일부 진술을 삭제했다”며 “가해자들 보복이 두려워 고소하지 못했고, 조사 이후 훈련을 못할 정도로 불안감을 느꼈다”고 했다. 폭언·폭행 녹취록 공개에 이은 피해 증언에도 김 감독과 장씨 등은 혐의를 부인했다.
주무부서인 문화체육관광부와 대한체육회는 안씨의 정보도 입수 못하는 등 기본 조사조차 하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심지어 문체부는 지난 2일 “피해자 측 연락 두절, 비협조” “고등학교 시절부터 공황장애·우울증 증세가 있었고 16년부터 정신과 치료 시작” 등 최씨 자살을 개인 문제로 돌리는 듯한 문구의 보고서를 국회에 보냈다.
대한철인3종협회는 이날 서울 송파구 올림픽파크텔에서 스포츠공정위원회를 열어 김 감독과 장씨에게 영구제명 징계, 선배 김모씨에게 자격정지 10년을 확정했다고 발표했다. 김 감독 직무정지를 제외하면 첫 공식 징계·처벌이다.
오후 4시에 시작된 회의는 애초 3~4시간이 예상됐으나 김 감독과 장씨 소명이 각각 수 시간 넘게 이어져 오후 11시쯤에야 마무리됐다. 김 감독 소명 중 회의장에서는 “누가 욕을 한 거야 그럼”이라며 고성이 새어나오기도 했다. 협회 관계자는 “김 감독과 장씨가 워낙 혐의를 강하게 부인해 건마다 꼼꼼히 점검하느라 회의가 늦었다”고 말했다.
이동환 조효석 김용현 기자 prome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