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전염 매개가 비말(침방울)이 아닌 공기라는 해외 과학자들의 의견에 대해 “추가 규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6일 정례브리핑에서 “(현재 나온 공기전파 가능성은) 작은 비말들이 공기 중에 좀 더 오래 떠다니다가 호흡기를 통해 감염될 가능성을 제기한 것”이라며 “좀 더 설명돼야 할 부분이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는 과학자들이 제기한 공기전파 과정이 비말에 의한 감염의 일종이라는 주장이다.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생성되는 큰 비말이 있는가 하면 일상적인 대화 등에서 만들어지는 작은 비말도 있는데, 바로 이 작은 비말이 공기 중에 머물다가 호흡기에 들어갈 수 있다는 설명이다.
정 본부장은 “일반적인 비말은 수분이 있어 무게가 나가고 표면에 가라앉게 되는데 이 수분이 증발하고 나면 비말핵이라는 형태가 남는다”며 “이 비말핵이 공기 중에 부유하다 호흡기로 들어갈 수 있다. 1㎛에 해당하는 아주 작은 비말도 있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공기전파에 대한 위험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마스크 착용, 기침 예절, 잦은 환기 등 현재 행동수칙을 정확히 준수하는 것이 코로나19 예방에 효과적”이라며 “예방수칙에 대해 보완이 필요할지 계속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전 세계 32개국 과학자 239명은 세계보건기구(WHO)에 공개서한을 보내 코로나19의 공기전파 가능성을 제시하고 예방수칙 수정을 촉구했다. 이들은 코로나바이러스가 비말의 크기와 관계없이 공기를 통해 전염되며 호흡할 때 사람들을 감염시킨다고 주장했다.
문지연 기자 jy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