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라이애슬론 국가대표 출신 고(故) 최숙현 선수의 동료선수들이 경주시청팀 감독과 주장선수의 폭행·폭언 등 가혹행위를 추가로 증언했다.
고 최 선수와 함께 선수생활을 한 2명의 선수들과 이용 미래통합당 의원 등은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고 최숙현 선수 사건 관련 추가 피해자 기자회견’을 열었다. 마스크로 얼굴을 가린 선수들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감독과 주장선수에 의한 “폭력과 폭언이 당연시돼 있었다”고 증언했다.
이들은 감독이 고 최 선수와 선수들에게 “상습적인 폭행과 폭언을 했다”고 주장했다. A 선수는 “견과류를 먹었다는 이유로 (감독이) 견과류 통으로 머리를 때리고 뺨과 가슴을 때려 ‘다시는 안 먹겠다’고 싹싹 빌었다”며 “감독에게 한달에 10일 이상 폭행을 당했다”고 밝혔다. 또 “감독에게서 인센티브도 제대로 받지 못했”으며 “국제대회에 나갈 때마다 지원금이 나오는데도 주장선수 명의의 통장에 사비로 80~100만원을 입금하라고 요구했다”고 금전적인 피해도 입었다고 말했다.
팀의 최고참인 주장선수에 대해서도 “같은 숙소 생활을 하며 24시간 폭력·폭언에 노출돼 있었다”고 밝혔다. B 선수는 “주장선수는 항상 선수들을 이간질하며 따돌림을 시켰다”며 “훈련을 하면서 실수를 하면 물병으로 머리를 때리고, 고소공포증이 있는 저를 옥상으로 끌고 데려가 ‘뛰어내리라’고 협박했다”고 말했다. 또 “감기 몸살에 걸렸을 때도 훈련을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선배를 시켜 각목으로 폭행했다”고 증언했다.
또 팀닥터에 대해서도 B씨는 “자신이 대학교수라고 말했”다며 “치료를 이유로 가슴과 허벅지를 만지는 등 성적 수치심을 느꼈다”고 밝혔다.
피해자들은 수사과정에서의 두려움도 털어놓았다. B씨는 경주경찰서 참고인 조사 당시 “담당 수사관이 ‘고소하지 않을 거면 말하지 말라’고 했다”며 “제가 운동을 그만두지 않는 이상 대회장에서 계속 가해자들을 만나고 보복당할 것이 두려워 진술인 조사 이후에는 훈련하지 못할 정도로 불안감을 느꼈다”고 말했다.
이날 기자회견에 나선 2명의 선수들 외에도 6명의 추가 피해자들의 피해 사실이 서면으로 공개됐다. 이들에 따르면 감독은 선수들을 야구방망이로 폭행하고 고등학생에게도 술을 강요했으며, 주장선수는 팀을 옮긴 선수를 경기 중에 때리고 폭언하는 등 가혹행위를 저질러왔다.
▶
▶
▶
▶
▶
▶
김지애 기자 am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