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페이가 개인정보가 도용돼 본인도 모르게 결제가 되는 등 피해를 입은 고객에게 수사 결과가 나오기 전 자체 보상하는 방침을 마련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류영준 카카오페이 대표는 최근 부정결제 피해를 본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보다 적극적인 관리 체계를 만들 것을 지시하고, 관련 태스크포스(TF) 구축에 나섰다. 최근 일부 간편결제시스템에서 부정결제 사고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마련된 조치다. 간편시스템 관련 부정결제에 대한 선(先)보상안은 국내 금융권에서 처음 나온 방침인 것으로 파악됐다.
지금까지는 사고가 나면 최종 수사 결과가 나온 뒤에야 보상 등이 이뤄지는 등 피해자 구제에 다소 시일이 걸렸다. 카카오페이 관계자는 “다음달부터 개인정보 도용 등 부정결제로 인한 피해가 접수되면 자체적으로 사고를 조사하고 선량한 피해자일 경우 보상해드릴 계획”이라며 “추가 피해 방지를 위해 사후 관리도 진행하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카카오페이는 지난 2015년부터 빅데이터·인공지능(AI) 기반의 이상거래감지시스템(FDS)을 구축, 실시간으로 의심거래 등을 감지하고 있다. 지난달 초에는 핀테크 업계 최초로 금융보안원으로부터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 관리체계(ISMS-P) 통합 인증을 획득한 바 있다.
조민아 기자 minaj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