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작구 소상공인 83.7% “긴급경제지원정책이 도움됐다”

입력 2020-07-03 16:46
이창우 서울 동작구청장

서울 동작구 소상공인들의 절반 가량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침체된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동작구가 추진해온 긴급경제지원정책으로 매출이 늘어났으며, 80% 가량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는 지원정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 경제활성화 지원정책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6월 8일~19일 ㈜지알아이 리서치와 함께 음식점업, 학원, 서비스업 등 관내 소상공인 500명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신뢰수준 95%, 표본오차 ±4.4%p)를 실시했다고 3일 밝혔다. 설문항목은 코로나19가 미친 지역경제 영향, 동작구 지원정책 평가, 기타 응답자 특성 등이다.

동작구(구청장 이창우)는 지난 4월부터 소상공인 긴급생활안정자금(6483명, 45억 3800여 만원), 중소기업육성기금 무이자대출(425업체, 42억 5000만원), 착한임대사업, 다중이용시설 휴업지원금(336명, 3억 3000여만원) 등 긴급경제지원정책을 추진했다.

먼저 코로나19 발생 후 사업장의 96.6%에서 매출액 감소가 나타났으며, 발생 전후 대비 평균 매출액 감소 비율은 43.2%이다. 지원정책 이후 매출변동으로는 48.8%가 매출액이 증가했으며, 평균 매출액 증가 비율은 13.9%이다.

지원정책 중 ‘동작구 긴급생활 안정자금지원 사업’은 만족도가 79.2%로 현금 직접 지원에 대한 긍정평가가 가장 높았으며, 지원정책이 경제적 어려움 극복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됐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83.7%가 도움이 되었다고 답했다.

지원정책별 사업 필요성(5점 척도) 조사 결과에서는 긴급생활 안정자금(4.45점), 착한소비운동(3.36점) 등으로 나타났으며 지원사업 규모에 대한 만족도(5점 척도)는 긴급생활 안정자금(3.27점), 다중이용시설휴업 지원금(2.96점) 등의 순이다. 이는 지원금액 규모의 확대와 지속적인 지원이 지원정책의 방향에 대한 소상공인의 의견으로 분석된다고 동작구는 밝혔다. 지원사업 형태 조사에서는 현금 직접 지원(62.6%), 융자성 지원(23.6%), 소비촉진운동 등 간접지원(7.2%), 시스템개선 지원(6.6%)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는 설문조사 결과를 ‘동작구 지역경제 소상공인 민감지역 빅데이터 분석’과 연계해 향후 경제활성화 지원사업 추진에 활용할 예정이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