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이 1박2일 동안의 토론 끝에도 ‘코로나19 위기극복을 위한 노사정 합의안’에 대한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은 임시대의원회를 열어 합의안에 대한 동의를 다시 구하기로 했다.
민주노총은 지난 2일 오후 5시32분부터 다음날 오전 1시40분까지 진행된 11차 중앙집행위원회(중집)에서 노사정대표자회의 최종안에 대해 다수 중집위원들의 동의를 얻지 못했다고 3일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날 새벽 중집에서 노사정 합의안 추인이 무산되자 “20일 민주노총 규약 상 위원장 권한 행사로 소집할 수 있는 임시대의원대회(임시대대)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민주노총 규약 상 임시대대는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때 소집할 수 있다.
앞서 민주노총은 지난 1일 코로나19 위기극복을 위한 노사정 협약식을 15분 남기고 불참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정동 민주노총 대회의실에서 중집을 소집해 마지막 의견 수렴에 나섰으나 비정규직 조합원들이 강하게 반대해 추인을 얻지 못했다. 이들은 지난 2일 열렸던 11차 중집에서도 일부가 참관해 ‘노사정합의안을 인정할 수 없다’ ‘김 위원장의 사퇴를 요구한다’는 등의 발언을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노사정 대타협이 무산된 데 대해 “대화에 참여했던 나머지 대표들과 국민에게 실망감을 안긴 민주노총에 대해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황윤태 송경모 기자 trul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