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경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 본부장이 라디오 인터뷰에 출연해 고령층 등 고위험을 중심으로 주기적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선제 검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코로나19가 끝나면 무엇을 하고 싶나’라는 질문에 “일상으로 돌아가고 싶다”고 답했다.
정 본부장은 3일 오전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진행은 박원순 서울시장이 맡았다.
정 본부장은 “우리나라 국민들이 대부분 다 면역을 갖고 있지 못해 누구나 노출되면 감염될 수 있다. 백신 개발이 되기 전까지는 크고 작은 유행이 계속될 것”이라며 “아무래도 가을이 되면 기온이 내려가면서 실내 활동이 많아지고 또 바이러스가 좀 더 활동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유행의 규모가 더 커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정 본부장은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깜깜이 전파’ 대응에 대해 “조사를 해 보면 한 사람이 두번째 환자를 만드는 데 한 3일 정도밖에 안 걸린다. 그 안에 조사를 끝내지 않으면 또 다른 사람이 다른 전파를 일으킨다”며 “그런 부분들을 최대한 찾아내서 방역망 안에서 관리하는 노력 등을 지금보다 더 열심히 강화하는 게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방역의 사각지대나 요양시설 등 고위험 어르신들이 있는 집단에 대해서는 좀 더 주기적인 검사 등을 통해서 감염자를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한 주기적인 검사가 체계화 되는 게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중앙정부에서도 많이 고민하고 예산 확보 등을 노력하겠다”고 했다.
정 본부장은 또 “개인방역, 집단방역, 정부의 여러 가지 방역 조치들이 모두 다 유행에 대비하는 대비책으로 중요하다”며 “시민이 백신이다. 최대한 사람 간 접촉을 줄이지 않으면 무증상을 인한 전파의 연결고리를 끊을 수가 없다”고 강조했다.
코로나19가 종식된 이후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이냐는 질문에는 “일단 일상으로 돌아가고 싶다”고 했다. 이어 “국민들도 그런 것처럼 예전의 일상이 얼마나 소중했는지를 깨닫는 것 같다”고 말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