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휘권 발동한 추미애…윤석열, 검사장 회의로 반격하나

입력 2020-07-03 09:03 수정 2020-07-03 09:05
뉴시스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검‧언 유착’ 의혹에 대해 수사지휘를 내렸지만 윤석열 검찰총장은 당일 수용 여부를 밝히지 않았다. 다만 다음날인 3일 전국 검사장 회의를 소집해 의견을 수렴하기로 했다.

대검찰청 대변인은 3일 전국 검사장 회의를 열고 추 장관의 수사지휘 수용 여부 등에 대해 논의한다고 전날 밝혔다. 회의는 고검장급과 수도권 지검장, 수도권 외 전국 지방청 지검장 단위로 나눠 진행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검은 3일로 예정된 전문수사자문단(자문단)회의는 열지 않기로 했다. 대검 측은 예정된 일정을 취소한 것이며 추 장관의 수사지휘 수용이 최종 결정된 것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이날 회의는 법무부 장관의 수사지휘권 발동이 검찰의 독립성과도 관련이 있는 만큼 검찰 조직의 중추인 검사장들의 의견을 들어 수용 여부를 신중히 판단하겠다는 취지로 보인다. 여권의 사퇴 압박과 추 장관의 수사지휘권 발동으로 코너에 몰린 윤 총장이 전국 검사장들의 신임으로 위기를 정면 돌파하기 위한 포석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앞서 추 장관은 지난 2일 대검에 ‘검‧언유착’ 의혹 수사의 적정성을 따지는 전문수사자문단 소집 중단과 서울중앙지검 수사팀에 대한 수사 독립성 보장을 지시했다. 검찰은 이후 부장회의에 이어 기획관·과장 등 중간간부들을 모아 내부 의견을 수렴했다. 회의에서는 총장을 지휘에서 배제하는 내용의 수사지휘가 검찰청법에 규정된 총장의 권한을 본질적으로 침해해 위법하다는 의견이 다수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수사지휘 수용 여부를 포함한 윤 총장의 입장은 이날 중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의견들이 엇갈릴 경우 윤 총장이 숙고에 들어갈 가능성도 있다. 대검은 이날 검사장 회의가 의결기구 아닌 간담회 형식의 의견수렴 절차라는 입장이다.

검‧언 유착은 이동재 전 채널A 기자가 올해 초 이철 전 밸류인베스트코리아(VIK) 대표를 상대로 신라젠 의혹을 취재하면서 한동훈(47·사법연수원 27기) 검사장과 공모해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 비리를 제보하라고 협박한 의혹 받는 사건이다. 사건에 연루된 한 검사장이 윤 총장의 최측근이라는 사실 때문에 윤 총장의 전문자문단 소집이 수사를 무마할 명분을 마련하기 위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돼왔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