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끝장 토론에도 ‘노사정 합의안’ 또 불발

입력 2020-07-03 05:24 수정 2020-07-03 05:26
뉴시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하 민주노총)이 3일 막판 불참으로 무산위기에 놓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정 합의안’ 추인 여부를 재논의했지만 또다시 불발됐다.

민주노총은 김명환 위원장 주재로 지난 2일 오후 5시50분부터 다음날인 3일 오전 1시40분까지 중앙집행위원회(중집)을 열고 노사정 합의안 추인 여부에 대해 ‘끝장 토론’을 벌였지만 다수의 반대로 동의를 얻지 못했다. 민주노총 집행부는 지난달 29일~30일 중집을 열어 노사정 협의를 통해 만들어진 최종안을 보고했다.

그러나 일부 강경파의 반대의 부딪혀 추인을 받지 못했다. 민주노총 집행부는 노사정 합의 서명식 당일인 1일 오전 다시 중집을 열었지만 노사정 합의에 반대하는 강경파 조합원들이 김 위원장을 사실상 감금했고 노사정 합의는 무산 위기에 놓였다.

강경파 조합원들은 이번 합의문에 해고 금지와 사회안전망 확충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포함돼 있지 않았다는 이유다. 이번 노사정 대화를 제안한 주체인 김 위원장은 자신의 ‘직’까지 내걸면서 합의에 대한 강한 의지를 내비치고 있다. 이에 일부 조합원들은 김 위원장의 사퇴를 촉구하는 항의 시위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 위원장은 지난 1일 강경파가 난입한 중집 회의장에서 “코로나 위기에 고통받고 있는 수많은 취약계층 노동자 등을 위해 이른 시일 내에 임시 대의원대회를 소집해 최종안에 대한 동의 여부를 묻는 절차가 필요하다”며 “그 결과에 따라 거취도 함께 판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내부 갈등으로 노사정 대타협 무산을 주도한 민주노총에 강한 유감의 뜻을 표했다. 정 총리는 2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 회의에서 “1일 예정됐던 노사정 협약식이 민주노총의 불참으로 열리지 못했다”고 밝혔다.

정 총리는 이어 “노사정이 40여 일간 힘겹게 논의해 도출한 합의안은 최종서명만을 앞두고 있었는데 대화에 참여했던 나머지 대표들과 국민께 실망을 드린 민주노총에 대해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우리 사회의 신뢰를 바탕으로 한 대화는 그 자체로 중요하며 이번 합의 정신은 존중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민주노총은 오는 4일 서울 여의도공원에서 개최할 예정이었던 대규모 집회를 연기하기로 했다. 민주노총은 2일 중집 위원회를 열고 “최근 전문가들이 코로나19 2차 유행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고, 감염병 확산 우려가 많다”며 “국민 생명과 안전을 우선해야 한다는 점을 감안해 7월4일 전국노동자대회를 연기한다”고 했다.

다만 민주노총은 코로나19 시기 옥내·외 등 집회·시위에 대한 기준이 보편 타당하게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며 “정부와 지방정부에 항의하고 시정을 요청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앞서 이날 서울시는 코로나19 확산을 이유로 4일 집회를 금지하는 행정명령을 발동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