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민사회가 인천항만공사에 대해 공기업의 본분을 망각한 꼼수 임대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골든하버 투자손실을 내항 고밀도 개발로 만회하려는 인천항만공사는 정녕 적폐공기업으로 남을 것인지를 시민들에게 밝혀야 한다고 요구했다.
인천내항 및 주변지역 공공재생 시민행동은 2일 성명을 통해 “국가고시에 따라 항만구역이 폐지되는 내항 1,8부두 대시민개방을 인천항만공사가 여전히 갖가지 꼼수를 동원해 지연시키고, 국민 무서운지 모르는 독단행정을 일삼고 있다”고 비판했다.
시민행동은 또 같은 성명에서 “시민들에게 개방해야 할 내항1부두에 위치한 제2국제여객터미널을 대학과 공공기관에 임대를 주겠다고 언론에 발표했다”며 “1·2국제터미널을 각각의 부지를 활용한 개발사업이 본궤도에 오를 때까지 약 1∼3년간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방안을 찾겠다는 것이 명분인데, 시민의견을 수렴하겠다며 소통관을 짓겠다더니 인천시와는 협의가 된 발표인지 의문”이라고 질타했다.
이들은 항만구역이 폐지돼 시민에게 돌려줘야 할 내항 1부두를 누구 마음대로 임대를 놓겠다는 것인지를 따진뒤 공기업의 본분을 망각하고 오직 내항을 틀어쥐고 고밀도개발 용지로 땅 팔아먹겠다는 꼼수가 아니냐고 평가했다.
이들은 “인천항만공사가 추진하고 있는 인천 내항 1·8부두의 항만 재개발 사업화계획 보완용역이라는 것도 내항1,8부두를 어떻게 하면 고밀로개발이 가능하도록 변경해서 땅을 비싼 값에 팔아먹을 것인가라는 이해타산이 목적인 짜맞추기 용역이기 때문에 당장 중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들은 또 “인천항만공사가 골든하버 계획을 제출했을 때 기획재정부는 두 번이나 사업성이 없는 것으로 통고해 보류됐다가 세번째 용역을 통해 송도9공구 준설토부지를 송도신도시에 편입해 땅값으로 평당 670만원을 제1국제여객터미널은 호텔로, 제2국제여객터미널은 마린센터로 매각한다는 계획으로 겨우 사업성을 맞춰 추진했으나 골든하버는 참담한 실패로 끝났다”면서 “인천시민에게 바다를 되돌려주고 원도심을 살리는 내항재개발사업을 항만공사의 이익만을 목적으로 훼방하면 적폐공기업으로 몰리지 않겠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마지막으로 “인천항만공사는 당장 소통 없이 발표한 국제여객터미널 임대나 사업화 보완용역 등 꼼수 행정을 중단하고 내항 1,8부두를 시민들에게 시원하게 열어야 한다”며 “제1국제여터미널은 인천 도시지역 주민과 관광객들의 편리를 위한 연안여객터미널로 활용하고, 제2국제여객터미널은 개방 이후 인천시민들의 공공문화공간으로 계획할 것을 인천광역시와 인천항만공사에 공식적으로 제안한다”고 밝혔다.
한편 인천내항 및 주변지역 공공재생 시민행동은 가톨릭환경연대, 강화도시민연대, 교육•문화연구 local+, 남북평화재단경인본부, 노동희망발전소, 노후희망유니온인천본부, 네모회(한국사회문제연구모임), 다인아트, 도시자원디자인연구소, 동인천1구역발전협의회, 문화인천네트워크, 미추홀학부모넷,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인천지부, 복숭아꽃, 비평그룹 시각, (사)시민과대안, (사)인천민예총, 생명평화포럼, 실업극복국민운동인천본부, 스페이스빔,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인천지부, 인천감리교사회연대, 인천국학운동시민연합 인천녹색연합, 인천내항과바다되찾기시민모임, 인천내항살리기시민연합, 인천도시공공성네트워크, 인천민중교회운동연합, 인천비정규노동센터, 인천시민사회단체연대, 인천여성노동자회, 인천여성민우회, 인천자바르떼, 인천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인천평화와통일을여는사람들, 인천평화복지연대, 인천환경운동연합,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인천지부, 중동구평화복지연대, 지역사회와함께하는사제연대, 청솔의집, 커뮤니티씨어터 우숨, 평등교육실현을위한인천학부모회, 함께걷는길벗회, 희망을만드는마을사람들, 함께걸음인천장애인자립생활센터, 홍예門문화연구소 등 47개 단체가 참여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
인천항 골든하버 투자손실 내항 고밀화 개발로 만회?
입력 2020-07-02 19: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