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곤 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재평가받고 있다. 2년 전엔 2018년 3월 '다주택자' 꼬리표를 떼기 위해 서울 강남구 대치동 아파트를 팔았는데 매매 가격은 23억7000만원이었다. 이후 래미안대치팰리스 1단지 전용 94㎡은 현재 30억~34억에 거래되고 있다.
김 전 장관은 2018년 4월부터 시행되는 양도소득세 중과 부담을 덜기 위해 이 아파트를 처분했다. 경기도 성남시 분당에 134.55㎡ 아파트를 한 채 더 갖고 있었기에 다주택자를 피해 절세하기 위한 목적이 있었다. 무엇보다 '다주택자 공직자'라는 꼬리표를 떼는 효과도 있었다.
특이한 점은 당시 23억에 팔렸던 대치동 아파트가 2년 새 무려 11억이 올랐다는 점이다. 문재인 정부 들어 22번(국토교통부 집계 4번)의 부동산 대책이 이어졌지만 강남 집값은 천정부지로 올랐다.
이에 노영민 대통령비서실장의 처신이 눈에 띈다. 그는 2일 자신이 갖고 있는 서울 서초구 반포동 아파트가 아닌 충북 청주시 아파트를 처분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청와대 비서관급 이상은 법적으로 처분이 불가능한 경우가 아니면 이달 중으로 1주택 제외하고 나머지는 처분하라"고 권고했다. 청와대 내 주요 다주택자들을 한명 한명 면담해 매각을 권고하기도 했다.
청주는 노 실장이 국회의원이었을 때 자신의 지역구다. 반포동 아파트는 현재 10억원이 넘는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노 실장은 2006년 5월 이 집을 2억8000만원에 매입했다. 청와대는 이날 노 실장이 반포동 아파트를 급매물로 내놨다고 발표했다 50분 만에 정정한 바 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