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이어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가능성이 있는 돼지 독감 바이러스가 새로 발견된 가운데 중국 정부가 필요한 조치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영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중국농업대학과 중국질병예방통제센터(CDC) 등의 과학자들이 신종플루(H1N1) 바이러스 계열의 새 바이러스가 돼지 사이에서 퍼졌으며 사람도 감염시켰다는 내용의 논문을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고 30일 보도했다.
이 바이러스에는 ‘G4 EA H1N1’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자오리젠(趙立堅)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중국은 이 문제에 주시하고 있다”며 “우리는 어떤 바이러스의 전파도 막는 데 필요한 모든 조처를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2011년부터 2018년까지 중국 10개 성의 돼지에서 검체를 채취하고 2016년부터 바이러스가 확산한 것을 발견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돼지 사육장에서 일하는 10.4%가 이 바이러스 항체에 양성 반응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연구진은 “이런 전염성은 인간 내에서 적응할 기회를 크게 늘려 잠재적 팬데믹의 우려를 높인다”고 말했다.
아직 이 바이러스가 사람에게 전이된다는 증거는 나오지 않았다. 하지만 변이를 거치면 사람 간 전이가 쉬워지면서 팬데믹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진이 발표한 논문에서 “G4 바이러스는 팬데믹이 될 모든 핵심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며 우려했다. 이 바이러스는 인간의 기도 내에서 효과적으로 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돼지에서 퍼진 이 신종플루를 통제하고 특히 양돈업계 종사자를 자세히 관찰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익명의 한 전문가는 1일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이 바이러스는 사람 간 전염 가능성이 작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양잔추(楊占秋) 우한대학 바이러스 연구소 교수도 사람 간 전파 가능성에 대중이 지나치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양 교수는 예방 조치를 위해 사육장과 도축장을 매일 소독하고 돼지의 상태를 자세히 관찰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매체는 2018~2019년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으로 큰 타격을 입은 중국 양돈 업계가 이번 바이러스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전했다.
한명오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