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에 재미를 더하고, 소액으로도 쉽게 시작할 수 있도록 진입장벽을 낮춰 생활 밀착형 투자를 확산시키겠습니다.”
김대홍 카카오페이증권 대표는 1일 서울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은 포부를 밝혔다. 지난 2월 카카오페이의 증권업 자회사로 출범한 이후 처음으로 열린 간담회에서 김 대표는 그간 성과와 향후 계획을 발표했다.
카카오페이증권에서 신규 계좌 개설은 4개월 만에 140만건을 돌파했다. 고객 연령대는 20~30대가 62.1%, 40대 21.9%, 50대 이상 11.5%다. 모바일 이용률이 높은 젊은 세대에 힘입어 빠르게 시장에 안착한 것이다. 김 대표는 “초기에 2030세대가 70% 이상이었지만, 4050세대 비중도 최근 들어 급격히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카카오페이 간편 결제 후 남은 잔돈으로 펀드에 투자하는 ‘동전 모으기’와 결제 시 받는 리워드 금액으로 투자하는 ‘알 모으기’ 등 소액 투자 서비스도 두 달 만에 약 32만 건의 신청이 들어왔다. 사용자가 원하는 날짜를 지정해 투자할 수 있는 ‘자동투자’ 신청도 10만 건에 달한다.
카카오페이증권은 이날 국내외 채권형 펀드 상품도 내놨다. 최근 주식 시장의 변동성이 증대된 만큼 안정적인 투자를 원하는 고객을 위해 ‘국내 채권에 마음 편히 #쏠쏠한 펀드’ ‘글로벌 채권에 나눠서 #영리한 펀드’ 등 2가지다. 이상원 카카오페이증권 사업총괄(COO)은 “엄선한 3가지 글로벌 상장지수펀드 자문 포트폴리오(EMP) 펀드에 국내외 채권형 펀드를 새로 추가해 사용자들의 선택권을 넓힌 것”이라고 설명했다.
향후 카카오페이증권은 빅데이터·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자문형 자산배분 서비스, 로보어드바이저를 활용한 개인 맞춤형 자산관리 서비스도 선보일 계획이다. 그동안 소수의 자산가, 금융 전문가에게 편중돼 있었던 금융 서비스를 누구나 경험할 수 있도록 범위를 넓혀 ‘투자·자산 관리 대중화’를 이끌어나가겠다는 의도다.
조민아 기자 minaj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