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등 27국 홍콩보안법 폐지 유엔 촉구… 한국 빠져

입력 2020-07-01 14:29
(홍콩 AFP=연합뉴스)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의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제정 추진에 반발한 홍콩 시민들이 24일 거리에서 시위를 벌이다 경찰이 최루가스를 쏘자 달아나고 있다.

영국 등 27개 국가가 30일(현지시간) 중국에 홍콩 국가보안법(홍콩 보안법) 폐지를 촉구했다. 줄리언 브레이스웨이트 주제네바 영국대표부 대사는 이날 유엔 제네바 사무소에서 열린 제44차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우리는 중국과 홍콩 정부가 이 법의 시행을 재고하기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유럽 국가를 비롯해 호주 캐나다 일본 뉴질랜드 스위스 등 27개 국가를 대표한 연설이었다. 그는 홍콩 보안법이 ‘일국양제’를 훼손하고 인권에 영향을 미친다며 우려를 제기했다. 또 미첼 바첼레트 유엔 인권최고대표에게 중국 신장 지역에 대한 관심을 부탁했다. 이 지역에서 주민들에 대한 감시와 구금이 이어진다는 것이다.

브레이스웨이트 대사는 “국제법상 보장된 권리와 자유를 보호하기 위해 홍콩과 신장 등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정기적으로 제공해줄 것을 요구한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은 공동 성명을 발표한 27개국에 포함되지 않았다. 외교부 당국자는 “우리 정부는 제반 상황을 고려해 공동발언에 참여하지 않았다”며 “홍콩 관련 그간의 입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고 밝혔다.

(베이징 AFP=연합뉴스) 28일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모습.

앞서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회는 이날 홍콩보안법을 162명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이 법은 국가 분열, 국가 정권 전복, 테러 활동, 외국 세력과의 결탁 등 4가지 범죄를 규정하고 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