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감염 시 ‘감염에 대한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가?’에 대해 일반인과 확진 환자 간 인식에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환자에게 있다’에 일반인은 30.7%가 동의한 반면 확진자는 9.1%에 그쳤다.
무려 3배가 넘게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경기도 공공보건의료지원단과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유명순 교수팀은 지난 6월 3일부터 17일까지 경기도 내 코로나19 확진자와 접촉자 총 1498명(확진자 110명, 접촉자 1388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해 1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먼저 ‘감염의 책임이 어디에 있다고 생각하는지’ 물음에 일반인의 30.7%는 ‘환자 자신에게 있다’고 응답한 반면 확진자의 9.1%만 ‘그렇다’고 동의했다.
일반인과 확진자 간 무려 21.6%p의 차이가 났다.
마찬가지로 ‘환자 자신의 잘못이 아니다’에 일반인의 34.6%만이 동의한 반면 확진자의 60%는가 ‘그렇다’고 답했다.
‘환자는 코로나19 감염을 스스로 막을 수 있었다’는 질문에도 확진자의 13.6%가 동의한 것에 비해 일반인은 41.2%가 동의했다.
이 같은 감염 책임에 대한 인식 차이는 고스란히 확진자들의 두려움의 대상에 여실히 드러났다.
코로나19 확진자들의 두려움 정도를 5점을 기준으로 살펴보니 ‘완치되지 못할 수 있다는 두려움(2.75점)’보다 ‘주변으로부터 받을 비난과 피해를 더 두려워한다(3.87점)’가 단연 높았다.
확진자와 달리 접촉자들은 ‘감염 확진 두려움(3.77점)’이 가장 높았다. ‘접촉자란 이유로 주변으로부터 비난과 피해를 받을 것에 대한 두려움(3.53점) ‘무증상 감염자로 판명날 것에 대한 두려움(3.38점) 순이었다.
확진자의 스트레스 정도에서는 전체의 27.3%가 ‘즉각 도움이 필요한 고도의 스트레스 상태(28점 이상)’로 나타나 이에 대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확진자와 접촉자에 대한 개선 요구 사항에서 확진자들은 ‘확진자 인권보호 개선’ 84.6%, ‘심리 정신적 지원’ 80%, ‘경제적 지원’ 71.8% 순으로 답했다.
이에 비해 접촉자들은 ‘경제적 지원’ 78.5%, ‘격리 대상자 조기발견’ 78.3%, ‘격리자 인권 보호에 대한 개선 필요’ 73.7% 순이었다.
유 교수는 “확진자들이 완치나 재감염 여부보다도 자신이 끼칠 사회적 피해, 즉 민폐를 많이 두려워한다”고 했다.
이희영 단장은 “이번 조사결과가 도내 코로나19 확진자, 접촉자들을 위한 실질적 대응책 마련에 큰 힘이 될 걸로 생각한다”고 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