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유럽연합(EU) 정상들은 30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과 관련해 코로나19 백신이 세계 공공재가 돼야 한다는 점에 공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4시부터 샤를 미셸 EU 정상회의 상임의장과 우르술라 폰 데어 라이엔 EU 집행위원장과 함께 화상 회의 형태로 진행한 한·EU 정상회담 후 이러한 내용을 포함해 총 14개 조항으로 구성된 공동언론발표문을 채택했다.
한·EU 정상들은 “코로나19 팬데믹 대응을 조율하는 역할을 해 온 세계보건기구(WHO)에 대한 지지를 재확인 했다”고 밝혔다. 또 “아프리카를 포함한 개발도상국들의 코로나19 팬데믹 여파 대응을 지원한다는 의지를 확인하면서 EU가 회원국들과 함께 360억 유로 이상의 지원을 약속한 것과, 한국이 동반자 국가들의 보건 시스템 강화 및 경제 사회적 여파 대응을 위한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을 환영했다”고 입을 모았다.
한·EU 정상들은 아울러 “서로 코로나19 팬데믹 대응 경험을 공유했다”며 “EU는 한국이 코로나19를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해 투명하고 개방적이며, 민주적인 방식으로 선제적이고 혁신적인 조치를 취한 것을 평가했다”고 밝혔다.
이어 “한·EU 양측은 보건 당국 및 질병관리본부 간 협력을 포함해 이 분야에서의 협력 강화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며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유럽의약품청 간 코로나19 관련 협력을 환영했다”고 덧붙였다. 또 “정상들은 신종 감염병에 대응하기 위해 의료 물자에 대한 접근성 보장을 위한 상호 지원 필요성 및 백신, 치료제 연구 개발을 위한 협력을 논의했다”고도 했다.
한·EU 정상들은 또 발표문에서 “EU 정상들은 한국이 국제노동기구(ILO) 기본협약 비준을 포함해 노동 분야 관련 조치들을 취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달라고 했다”고 밝혔다. EU 정상들이 문 대통령에게 국제노동기구(ILO) 기본협약의 조속한 비준을 촉구한 것이다. EU는 노동기본권 핵심 협약 미비준을 이유로 한-EU FTA 위반 문제를 제기한 상태다.
이들은 또 “정상들은 국가 간 이동과 무역에 불필요한 장애를 피하기 위해 건강 보호를 목적으로 취해지는 긴급 조치들이 목표 중심적이며, 비례적이고, 투명하며, 한시적으로 시행돼야 함을 강조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EU는 7월 1일부터 한국·일본 등 14개국 국민의 입국을 허용하기로 했다. 역외 국가 여행객 입국 허용은 3월 16일 이후 약 4달만이다.
이번 회담은 문 대통령의 올해 첫 양자 정상회담이었다. 한·EU 정상회담은 2018년 10월 이후 1년 8개월만이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