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제정으로 미국이 홍콩에 대한 특별 지위를 박탈하자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이 즉각 발끈하고 나섰다. 가시밭길과도 같은 미국의 제재에 심리적인 준비가 돼 있으며 타격을 받는 품목은 중국산으로 대체하겠다는 것이다.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가 홍콩보안법을 통과시킨 30일 람 장관은 기자들과 만나 “미국의 어떠한 제재에 대해서도 두렵지 않다”며 “홍콩 정부는 이미 이러한 제재에 대해 검토를 해 왔으며, 이에 대한 심리적인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번 제재 대상이 되는 품목은 많지 않으며, 설사 다소 불편함이 있더라도 중국산 제품으로 이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며 ‘혁신 허브’로서 홍콩의 지위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중국은 이러한 제재에 맞서는 조처를 해야 할 것이며, 중앙정부가 이러한 조처를 내놓을 때 홍콩 정부는 이에 전면적으로 협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은 1992년 제정한 홍콩정책법을 통해 관세나 투자, 무역, 비자 발급 등에서 홍콩에 중국 본토와 다른 특별지위를 보장해 왔지만, 이날 홍콩보안법이 끝내 통과되자 철회 입장으로 돌아섰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이미 국방물자 수출 중단, 첨단제품에 대한 홍콩의 접근 제한 등 관련된 특혜가 없어지기 시작했다.
람 장관은 아울러 “홍콩 내 일부 인사가 외국 정부에 구걸해 미 정부가 홍콩 내정에 간섭하고 홍콩을 제재하라는 요청을 했다”며 홍콩의 민주파 진영을 맹비난했다.
람 장관의 자신감에도 홍콩의 앞길은 가시밭길이 될 전망이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대표 금융 허브에서 더는 특별하지 않은 ‘중국화 지역’으로 전락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그간 홍콩이 고도로 자유화된 시장 환경을 바탕으로 중국과 세계를 잇는 관문 역할을 해왔다는 점에서 중국의 대외 무역 분야에도 타격이 예상된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