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해외입국자 관리업무에 민간 투입한다

입력 2020-06-30 13:52

대전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관련 해외입국자 관리 업무를 민간용역으로 대체한다고 30일 밝혔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대전역을 통해 입국한 시민·외국인은 총 3600여 명에 달한다. 이중 격리시설 입소자 874명 중 4명(0.45%)이 확진판정을 받았다.

이들로 인한 2차 감염 사례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과도한 행·재정적 부담이 발생해 민간 인력 투입을 결정했다고 시는 설명했다.

실제로 대전은 해외입국자 관리를 위해 하루 평균 20명씩 총 2000여 명의 공무원이 투입됐으며, 대전역 입국자 안내·격리시설 운영에 매달 3억여원의 비용을 집행하고 있다.

시는 먼저 대전역 입국자 안내, 격리시설 입소자 입·퇴소, 생활물품 비치, 도시락 배달 등 단순 업무를 중심으로 민간 인력을 투입하기로 했다.

또 내국인 5만원, 외국인은 10만원이었던 격리시설 이용료도 수익자 비용부담 원칙에 따라 내·외국인 구분 없이 1일 10만원으로 조정하기로 했다.

이용료는 입소자의 도시락, 생필품, 방역소독 등에 사용된다.

대전시 관계자는 “공무원들의 근무여건을 개선하고, 민간용역 효과를 분석하면서 추가적인 개선책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