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숙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최근 SNS에 문재인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비판하는 글을 올렸다가 돌연 삭제했다는 언론 보도에 대해 “삭제가 아니라 ‘혼자 보기’로 돌려놓은 것”이라고 해명했다.
조 교수는 29일 페이스북에 올린 추가 글에서 “대통령께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충분히 전해졌으니 정부의 대응을 지켜볼 때라는 생각이 들었고, 부동산 정책의 문제를 정치적으로 키워가려는 언론에 판 깔아주지 않으려는 의도였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문 대통령 지지자를 자처하며 갑질에 막말하는 분들을 가끔 보지만, 그들이 진정한 지지자인지는 모르겠으나 막말하면 차단하면 되고 비합리적 비난은 신경도 쓰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비판 좀 하면 어떻나”라면서 “사람들의 생각은 다 다를 수 있고 제 글의 내용을 비판할 수도, 형식을 비판할 수도 있다고 본다. 저는 비판을 하면서 남으로부터 비판을 받지 않겠다는 것은 매우 오만한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조 교수는 “제가 왜 공개적으로 비판해서 대통령을 어렵게 하느냐는 분들이 있다”며 “일리는 있지만 저는 정치적 문제, 가령 인사나 검찰개혁 등 여야가 팽팽히 갈리는 문제에서는 한 번도 다른 소리를 낸 적이 없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정책에는 여도 야도 없고 이념도 없어야 한다”면서 “오로지 국민의 편의와 이익에 봉사하는 정책을 만들기 위해 민주적으로 토론하고 각종 예기치 못한 부작용에 대비해 최선의 대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대통령이 정치적으로 성공하면 임기 동안 인기를 누리며 높은 지지를 받겠지만 그럴수록 정책적으로 실수할 가능성이 높다”며 “문재인정부는 위기대응과 남북관계에 있어서 성공적이라고 보지만 애정이 있기에 교육은 포기했어도 부동산만큼은 중간이라도 가면 좋겠다”고 전했다.
조 교수는 “박근혜가 정치적으로 성공했기에 정책적으로 실패했듯이 저는 문 대통령의 정치적 성공이 꼭 달갑지만은 않다”며 “지지도가 좀 떨어지더라도 정책적으로 성공해 역사적으로 성공한 대통령으로 평가받으면 좋겠다”고 얘기했다.
그는 “물론 이런 생각을 남에게 강요할 생각은 없다. 열렬히 지지할 분은 그렇게 하라. 그것도 힘이 된다”며 “야당이 제 역할을 못 하니 저라도 지지자 중 야당이 되어 정책적으로 쓴소리 하는 사람이 필요하고 또 그걸 비판하는 사람도 필요한 게 민주주의”라고 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