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해운대구 반산초 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에서 발생한 연쇄 교통사고로 6세 어린이가 숨지는 사고와 관련해 부산시가 스쿨존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점검에 나선다. 그러나 사고가 터지고서야 점검에 나서는 것을 두고 전형적인 뒷북 행정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부산시는 다음 달 2일부터 31일까지 어린이보호구역 898곳에 대한 안전시설물 일제 점검을 할 예정이라고 29일 밝혔다.
시는 우선 오는 2~3일 이틀간 구·군, 경찰청, 교육청, 도로교통공단 등 관계기관과 함께 최근 3년간(2017~2019년) 어린이보호구역 어린이교통사고가 자주 발생한 17곳에 대한 특별점검에 나선다. 경찰청에 따르면 부산의 어린이 교통사고 다발 지역은 동래구 온천초를 비롯해 가야·동원·양정·초읍·대신·광안·대천·연포·반산·동현·을숙도·하남·녹산·송정·기장·신정 등 초등학교 17곳이다.
이어 7월 한 달간 구·군 자체 점검을 통해 어린이보호구역 전수 점검을 시행한 뒤 오는 8월에는 관계기관과 합동으로 안전시설물 일제 점검을 추진한다.
시는 교통안전 시설물 점검 조사 결과에 따라 안전시설물을 보강하고 노후 시설물을 교체할 방침이다. 특히 도로 기하구조, 사고 위험성 등 전반적 안전사항을 세밀히 점검해 소규모 정비사업은 올해 안에 개선하고 장기적 대규모 정비사업은 세부계획 수립과 예산을 확보해 내년도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부산시는 안전점검과 함께 올해 어린이보호구역 내 신호·과속 무인 단속 CCTV(100곳)와 신호기(217곳) 설치, 시설개선(58곳) 등 개선사업도 추진한다. 신호·과속 무인 단속 CCTV는 2022년까지 모든 어린이보호구역 내에 설치를 완료할 계획이다.
하지만 사고가 발생한 반산초 스쿨존은 그동안 여러 차례 비슷한 교통사고가 발생한 곳으로, 학부모를 중심으로 여러 차례 사고 방지 대책을 요구했으나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다. 뒷북 행정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또 사건이 이슈화되자 뒤늦게 점검에 나서는 것도 전형적인 전시성 행정이란 평가를 받고 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