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이 29일 원 구성 협상에서 끝내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김태년 민주당 원내대표는 협상 직후 기자간담회를 열고 “민주당은 그동안 최대한의 양보를 했지만 통합당이 거부 입장을 통보했다”며 협상 결렬을 밝혔다.
김 원내대표는 “일하는 국회를 좌초시키고 민생의 어려움을 초래한 모든 책임은 통합당에 있다”며 “민주당은 통합당을 제외한 제3 정당과 협의해 국회 본회의를 열어 상임위원장을 선출해 국회를 정상 가동하겠다”고 말했다.
최종적으로 통합당 측에서 거부한 합의 내용에 대해 김 원내대표는 “11(민주당) 대 7(통합당) 상임위원장 배분을 지키는 것, 21대 후반기 법제사법위원장은 2022년 대선 이후 집권당이 갖도록 하는 것, 법사위 제도 개선을 위해 협의하는 것 등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일 위안부 합의 및 후속 조치에 대한 국정조사와 한명숙 전 국무총리 사건 수사에 대한 법사위 청문회도 합의 대상이었다”고 했다.
통합당 측에서 합의안을 거부한 배경에 대해서는 “원 구성 협상 진행 상황을 놓고 봤을 때 협상권과 결정권을 달리하는 당의 구조 때문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영진 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는 통합당을 향해 “주호영 원내대표의 합의권과 결정권을 인정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원내 과도한 개입을 통해 21대 국회를 만드는 데 무슨 역할을 하는지 되묻고 싶다”고 비판했다.
한민수 국회 공보수석도 브리핑을 열고 “전날 협상에서 합의문 초안까지 만들었지만, 오늘 최종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며 “통합당은 상임위원장을 맡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전했다.
박병석 국회의장은 통합당에 이날 오후 6시까지 18개 상임위원 명단을 제출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따라 본회의는 오후 7시 개의될 예정이었으나 통합당에서 명단 제출을 거부해 오후 2시로 앞당겨 열기로 했다. 박 의장이 통합당 상임위원 명단을 강제 배정할 것으로 보인다. 본회의에선 상임위원장 선출 이후 정세균 국무총리의 시정연설이 이어진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