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스포츠 관중석 개방된다 “다음주 비율·시점 결정”

입력 2020-06-28 17:01
한화 이글스 팬들이 지난해 3월 24일 서울 송파구 잠실구장에서 열린 2019시즌 프로야구 정규리그(KBO리그) 두산 베어스 원정경기에서 응원하고 있다. 뉴시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유행으로 닫혔던 국내 프로스포츠의 관중석이 마침내 개방된다. 정부가 관객의 경기장 입장 허용하고, 다음 주중으로 수용 규모를 결정할 계획을 밝혔다. 야구·축구는 입장 관중의 비율, 객석이 없는 골프는 갤러리 총원의 상한선이 쟁점으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8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발표된 ‘거리두기 단계별 기준 및 실행 방안’에 따라 프로스포츠의 제한적 관중 입장이 허용된다”며 “방역 당국과 협의해 관중 허용 규모와 시점을 다음 주중으로 확정하고, 각 종목 주관 단체들과 함께 경기장 내 코로나19 억제를 위한 방역 계획을 수립·점검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내 프로스포츠는 지난달에 일제히 개막했다. 프로야구(KBO리그)는 5월 5일, 프로축구(K리그)는 같은 달 8일, 여자프로골프(KLPGA)는 같은 달 14일부터 경기를 시작했다. 현재 모든 경기는 코로나19 방역을 위해 관중을 경기장으로 들이지 않고 생중계로만 진행되고 있다. 가을에서 이듬해 봄까지 진행되는 농구·배구도 개막을 준비하고 있다.

프로야구의 주관 단체 한국야구위원회(KBO)는 이미 관중 입장을 가정한 코로나19 대응 매뉴얼을 준비해 왔다. 입장권 판매는 원활한 역학조사를 위해 인터넷·모바일로만 진행하고, 관객 1명이 앞뒤좌우로 좌석을 1칸씩 떨어뜨려 착석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KBO리그의 첫 관중 입장에서 주요 쟁점은 전국 10개 경기장마다 다른 수용인원의 비율을 정하는 일이다. KBO 관계자는 “개막 이전부터 방역 대책을 구체적으로 수립하고 이행해 왔다. 각 경기장에서 관중 입장이 이미 준비돼 있다”고 말했다.

프로축구를 주관하는 한국프로축구연맹도 KBO와 마찬가지로 관중 입장을 가정한 논의가 상당수 진행됐다. 연맹 관계자는 “이사회가 사무국에 모든 결정을 일임했다”고 말했다. 연맹은 구단 의견 취합부터 의사결정까지 일주일가량을 소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2019시즌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 BC카드·한경 레이디스컵을 개최한 지난해 6월 23일 경기도 포천 군내면 포천힐스 컨트리클럽에 갤러리들이 18번 홀 그린 주변을 에워싸고 있다. KLPGA 제공

프로골프의 논의는 야구·축구보다 복잡하게 이뤄질 수 있다. 갤러리의 관전이 선수와 동행하는 방식으로 이뤄지는 골프는 비율보다 총인원을 결정해야 관중을 들일 수 있다. KLPGA 관계자는 “대회마다 개최지나 중요도가 달라 갤러리 규모도 다르다”고 설명했다.

남자프로골프(KPGA)는 오는 7월 2일 개막을 앞두고 관중 입장이 허용되는 호재를 맞았지만, 당분간은 무관중 생중계 방식으로 투어를 진행할 계획이다. KPGA 관계자는 “정부와 보건 당국의 발표를 확인한 뒤 논의를 시작할 것”이라며 “당장 개막전을 포함해 7월 중 편성한 대회는 무관중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김철오 조효석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