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확대해 한국을 참여시키는 미국 구상을 반대하고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교도통신은 복수의 외교 소식통 발언을 근거로 일본 정부 고위관료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G7 확대 구상을 밝힌 직후 한국 참가를 반대한다는 뜻을 미국 정부에 전달했다고 28일 보도했다.
표면적인 반대 이유는 ‘한국이 북한이나 중국을 대하는 태도가 G7과 다르다’이다. 문재인정부가 남북관계 개선에 무게를 두면서 친중 성향을 보인다는 점을 문제 삼은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 대립하는 상황을 고려해 이 점을 내세운 걸로 보인다.
미국 측은 “트럼프 대통령이 최종적 판단을 할 것”이라고 반응한 것으로 알려졌다.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은 G7 확대 구상과 관련해 “일본과 미국이 긴밀하게 대화하고 있다. 의장국인 미국이 정상회의 일정과 개최 형태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일본 정부의 속셈은 다르다. 일본은 아시아 국가 가운데 유일하게 G7에 들어있다는 ‘우월적 지위’를 유지하고 싶어한다.
이와 함께 한국이 국제사회에 강제징용 손해배상,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등의 역사문제를 거론하는 걸 차단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고 교도통신은 해석했다. 일본은 지난해 7월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손해배상 판결을 빌미 삼아 한국을 상대로 핵심 소재·부품 수출규제 조치를 단행했고, 아직 이를 유지하고 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말에 G7 정상회의를 9월로 연기하면서 한국을 포함하는 등 G11 또는 G12 체제로 확대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