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최근 논란이 된 인천국제공항 직접고용 전환과 관련해 페이스북에 사진을 올렸다. 인천국제공항 직고용은 청년층의 채용기회를 박탈하지 않는다는 내용이었다.
조 전 장관은 27일 페이스북에 사진 한 장을 올렸다. 앞서 국토교통부는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홈페이지에 “인천국제공항 직고용은 청년들 채용기회를 박탈하지 않는다”고 밝혔는데 이와 같은 입장을 정리한 포스터였다.
사진 속에는 “인천국제공항 직접 고용 전환, 청년층 채용기회 박탈 주장은 사실이 아닙니다”라는 글이 적혀있었다. 또 “인천국제공항공사 직접고용 전환 대상은 보안검색원으로 취업준비생들이 준비하는 일반직과 직렬이 다릅니다. 일반직 신규인력 채용은 정상적으로 추진될 예정입니다. 이번 정규직 전환의 취지는 비정규직 근로자의 고용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라는 문구도 있었다.
조 전 장관은 인천국제공항 직고용과 관련해 직접적인 언급은 하지 않았다. 다만 국토교통부의 입장을 게시하므로써 정부의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정책’을 지지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26일 국토교통부는 일부 언론이 “인천국제공항 정규직 채용이 불공정하다”고 보도한 것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했다.
이들은 아르바이트 보안검색원이 공사 정규직 전환 이후 연봉 5000만원을 받느냐는 질문에 “사실과 다르다”고 했다. 그러면서 “직고용 전환대상의 임금은 노·사·전문가 협의회의 합의에 따라 공항공사 일반직과 구분되는 별도의 임금체계를 적용 받게 된다”고 말했다.
또 보안검색원의 정규직 전환은 공정한 경쟁을 통한 정규직 채용이 아니므로 국민의 평등권을 침해한다는 주장에는 “공공기관 정규직 전환의 취지는 기존의 비정규직 근로자의 고용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라며 “인천국제공항공사에 직고용 전환되는 보안검색원은 자회사에 채용되는 방식에 비해 더욱 엄격한 채용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했다.
인천국제공항공사가 노조 측과 충분한 대화와 협의를 거치지 않고 일방적으로 직고용 전환 방안을 결정했냐는 질문에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못박았다. 이들은 “2017년 9월 노·사·전문가 협의회를 구성한 뒤 지속적으로 전환방안을 논의해왔다”며 “수차례 논의 끝에 지난 2월 28일 직무별 세부채용절차 등 정규직 전환방안 최종합의가 이뤄졌었다”고 반박했다.
김지은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