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대북전단을 살포해온 탈북민단체 큰샘의 사무실을 압수수색하고 있다. 경찰은 박상학 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의 신병도 자택 근처에서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지방경찰청 보안수사대는 26일 오전 서울 송파구의 박 대표 집과 사무실, 강남구의 탈북민단체 큰샘 사무실에 인력을 보냈다. 수사에 필요한 물품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경찰 관계자는 “박 대표 신병을 모처에서 확보해 조사에 들어갔다”며 “다만 박 대표 자택은 압수수색 대상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경찰은 자유북한운동연합과 큰샘에 대해 남북교류협력법·항공안전법·공유수면법 등을 위반한 혐의로 지난 12일 수사에 착수했다. 수사를 의뢰한 통일부는 박 대표가 물자를 대북으로 반출했음에도 통일부 장관의 승인을 받지 않아 교류협력법을 어겼고, 대북전단 살포에 허가없이 드론(무인기)을 사용해 항공안전법 등을 위반했다고 판단했다. 이번 압수수색도 탈북민단체 2곳의 대북전단 살포 활동에서 추가로 법에 위배되는 부분이 있는지 확인할 목적으로 이뤄졌다.
자유북한운동연합과 큰샘은 수년간 강원도 홍천이나 경기도 가평 등지에서 전단을 북한에 띄워보내는 활동을 지속해왔다. 대형 풍선에 북한 지도층을 풍자하는 전단과 문구, 이동식 저장장치(USB), 소책자, 지폐 등을 담은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2일엔 정부의 경고조치에도 불구하고 기습적으로 대북전단을 추가로 살포한 정황이 포착되기도 했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은 지난 4일 대북전단 살포에 대해 ‘노동신문’에 담화문을 내고 강력히 비난한 바 있다.
통일부는 앞서 탈북민단체의 대북전단 살포를 두고 강한 유감을 표시해왔다. 통일부는 “박 대표 측이 대북전단과 물품 등을 북한에 살포하는 시도를 지속하고, 허위 사실로 남북 간 긴장을 고조시켜 접경지 부근 지역주민들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한 데 대해 엄중하게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도 경고했었다.
박 대표는 지난 23일 자택으로 찾아간 취재진을 폭행하고 이를 제지하려고 출동한 경찰관에 가스총을 쏜 혐의도 받고 있다.
▶
최지웅 기자 wo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