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경찰청장 후보자로 내정된 김창룡(56·경찰대 4기) 부산지방경찰청장은 25일 “국민 안전과 공정한 법 집행 그리고 경찰개혁에 대한 국민 여러분의 기대와 요구를 잘 알고 있다”며 “차분하게 잘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김 청장은 이날 서울 서대문구 NH농협생명빌딩 서관에서 열린 경찰위원회 임시회의에 출석한 뒤 이같이 소감을 밝혔다. 회의에서 7명의 경찰위원들은 김 청장에 대한 임명제청 동의안건을 심의했다. 위원들은 만장일치로 안건에 동의했다. 청와대는 위원회의 회의결과를 수용해 26일 김 청장을 22대 경찰청장 후보자로 확정할 예정이다. 이후 국회 인사청문회 등 법적 절차를 거친 뒤 문재인 대통령이 최종적으로 경찰청장으로 임명하게 된다.
향후 인사청문회 검증 과정에서는 김 청장과 문 대통령 간 과거 인연이 여러 쟁점 중 하나로 등장할 전망이다. 김 청장은 노무현정부 때 청와대 치안비서관실 행정관으로 근무했다. 당시 청와대 시민사회수석이 문 대통령이었는데, 김 청장을 각별히 아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만큼 현 정부의 국정철학을 잘 이해할 것이란 기대가 여권 안팎에서 나오지만, 정권 입김에 휘둘리는 경찰수장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상존한다. 김 청장이 이번 정부 들어 치안정감까지 이례적으로 빨리 승진한 점도 이런 우려를 키우는 대목이다. 이에 대해 김 청장은 “인사 대상자가 인사권자의 인사에 대해 말씀드리는 건 적절치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청장 앞에는 경찰개혁 과제들이 산적해 있다. 지난해 1월 국회를 통과한 검·경 수사권 조정안 관련 후속작업이 선결과제다. 검찰의 수사개시 범위 등 조율해야 할 세부사항들이 남아 있고, 수사종결권을 갖게 되면서 비대해진 경찰권력을 효과적으로 분산할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 이에 대해 김 청장은 “협의와 다양한 의견수렴을 통해 추진이 돼야 할 것이라 생각한다”며 “구체적인 건 다음 기회에 말씀드리겠다”고 했다.
경남 합천 출신인 김 청장은 경찰대 법학과를 졸업한 뒤 1988년 경위로 임용됐다. 서울 노원경찰서 정보과장과 경찰청 정보1과장을 지냈다. 브라질 상파울루 총영사관 영사, 미국 워싱턴 주재관으로 근무해 해외 근무 경험도 풍부한 편이다. 경찰청 생활안전국장, 경남경찰청장을 거쳐 부산경찰청장에 임명되면서 치안정감으로 승진했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