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통합신공항 건설이 난항을 겪고 있다.
주민투표로 이전후보지가 결정됐지만 지역 간 극단적인 이기주의 때문에 사업추진은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 19일 국방부와 대구시·경북도 통합신공항 추진단이 제시한 ‘통합신공항 중재안’을 의성지역에서 거부하면서 또다시 암초를 만났다. 일각에서는 군위와 의성이 합의점을 찾지 못할 경우, 공항이전은 제3의 후보지로 부상하고 있는 영천지역으로 가게 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의성군의회 의원들은 25일 ‘통합신공항 중재안에 대한 우리의 입장’이라는 문서를 통해 중재안을 거부했다. 이들은 주민투표결과에 따라 통합신공항의 ‘의성 비안·군위 소보지역 이전’은 우리의 당연한 권리라고 주장했다.
또 “국방부, 대구시, 경북도, 의성군, 군위군 등 이전부지선정위원회에서 합의된 기준과 절차에 따라 주민투표가 실시돼 의성 비안과 군위 소보가 공동후보지로 결정됐고, 국방부는 주민투표 결과가 반영된 공동후보지로 추진을 하겠다고 발표한 것은 민주주의의 기본이며 투표결과는 누구도 거역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의원들은 “통합신공항 유치로 명분만 있고 실리도 없는 소음피해만 가져온다면 군민들은 이번 중재안을 절대로 받아들일 수 없으며 우리는 군민들에게 씻을 수 없는 역사의 죄인이 될 것”이라며 “의성군과 군위군은 상생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한다”고 주장했다.
의성군 이장연합회도 중재안에 반발했다.
이들은 지난 24일 군청 회의실에서 이장연합회 회원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통합신공항 이전사업 추진현황 설명회’를 열었다.
회원들은 “중재안은 의성군민의 자존심을 처참히 무너뜨리는 것”이라며 “이 같은 상황이 발생한 것은 주민투표 후 관계공무원이 무능했던 결과”라고 비난했다.
또 “중재안 대부분은 의성이 거의 모든 것을 양보하는 것으로 알맹이는 군위에 주고 껍데기만 가져오는 것”이라며 “주민투표를 통해 공동후보지가 결정됐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고민을 해야 하는 것이 매우 당혹스럽다”고 말했다.
이광휘 이장연합회장은 “이 같은 일방적인 제안은 의성의 자존심을 무시하는 처사”라며 “우리 모두 머리를 맞대고 의성군과 군위군이 상생할 수 있는 합리적 방안도 함께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성지역의 중재안 거부가 잇따르자 경북지구 JC, 경북4-H연합회, 경북청년CEO협회, 경북청년봉사단, 경북청년협동조합연합회 등 경북지역 청년단체들은 26일 경북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조속한 공항이전을 촉구했다.
이들은 인구 소멸 문제를 해결하고 청년이 살기 좋은 경상북도를 만들기 위해 특단의 사업과 정책이 시행돼야 하며 그 시작이 바로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이전이라고 주장했다.
또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이전은 단순히 특정지역의 이권의 문제가 아니라 경북이 사느냐 죽느냐의 문제이며 청년이 경북에서 살아갈 기회를 주느냐 박탈하느냐의 문제라고 말했다.
청년들은 대구경북통합신공항 이전은 경상북도의 새로운 경제발전은 물론 대한민국을 넘어 국제적인 지역이 될 수 있는 기회라고 주장했다.
또 “대구경북통합신공항 이전의 중요성을 외면한 채 지역 간 이해관계로 머뭇거리고 있다면 먹고살기 위해 발버둥치고 있는 경북청년들의 기회를 박탈하는 것이며 우리를 이어 경북에서 살아나갈 미래세대에 희망의 불씨를 꺼버리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경북청년단체는 경북도의 발전과 경북청년을 위해 군위군과 의성군이 대구경북통합신공항 이전부지 선정에 조속한 결정을 내려줄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말했다.
국방부는 26일 대구경북통합신공항 이전부지 선정실무위원회에 이어 다음달 3일 정경두 장관이 주관하는 이전부지 선정위원회를 각각 개최한다.
선정실무위원회는 박재민 국방부 차관이 위원장을 맡고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 인사 등 20명으로 구성됐다. 선정위원회에는 정 장관을 위원장으로, 정부 관련 부처 차관, 고위공무원, 민간인 등 19명이 참여한다.
선정실무위원회 회의에서는 대구 군 공항 이전사업에 대한 경과보고에 이어 주민투표 후 각 지방자치단체장이 유치 신청을 한 단독후보지와 공동후보지가 선정 절차와 기준에 부합하는지 등의 적정성을 검토한다.
지난 1월 실시된 주민투표에서 공동후보지(의성 비안·군위 소보)가 단독후보지(군위 우보)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군위군이 단독후보지만을 고수하면서 사업 추진이 멈췄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