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국공 취준생 기회 뺏는 것 아냐” 靑 일자리수석의 변

입력 2020-06-25 08:24
황덕순 청와대 일자리수석. JTBC ‘뉴스룸’ 방송화면 캡처

인천국제공항공사가 1900여명의 보안검색 요원들을 청원경찰 신분으로 직접 고용하기로 결정한 데 대한 반대 여론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황덕순 청와대 일자리수석이 관련 입장을 내놨다.

황 수석은 24일 JTBC ‘뉴스룸’에 출연해 “많은 분들이 기존에 있는 비정규직 일자리를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것만이 정책의 목표라고 생각하시는데 그것은 아니다”라며 “이런 정책이 없었다면 비정규직으로 뽑았을 일자리도 (지금은) 정규직으로 뽑고 있다. (오히려) 청년 취업준비생들에게 더 좋은 일자리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 반영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국제공항공사 정규직화를 둘러싸고 여러 논란이 동시다발적으로 제기된 상태다. 기존 정규직들은 헌법소원까지 제기하며 반발하고 있고,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비정규직 사이에서도 일부는 완화된 심사 기준에 따라 경쟁해야 한다는 불만이 있으며, 본사 정규직이 아닌 자회사 정규직으로 편입되는 직원들도 반감을 표하고 있다.

이 같은 갈등을 예상하지 못했느냐는 질문에 황 수석은 “오래 전부터 잠재돼 온 문제”라고 했다. 그는 “2017년 5월 문재인 대통령이 인천공항공사를 방문하신 이후 이해 당사자들이 전문가들과 협의해 그해 12월에 1차 합의를 이뤄낸 결과 비정규직 1만명 가운데 3000명을 직접 고용하기로 했고, 이번에 1900명의 전환이 결정된 것이다. 합의를 도출하는 과정이 매우 어려웠다”고 말했다.

그는 “이런 전환 과정을 청와대가 직접 조율하기는 어렵다. 정부가 추진한 정규직화 정책의 대상 기관이 850개가 넘고 전환을 결정한 분들이 20만명에 달하기 때문”이라며 “정부가 하나하나 직접 결정할 수가 없기 때문에 결정의 방식은 기본적으로 각 기관의 정규직, 비정규직 그리고 사용자,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노사 전문가들의 협의체를 통해 결정해 왔다”고 설명했다.

황 수석은 “(인천국제공항공사의 경우) 올해 2월에 이미 1900명을 직접 고용하기로 정규직과 비정규직들 사이에 합의가 있었고, 그 합의의 기반한 구체 방안을 이번에 발표한 것”이라면서 “당사자들 모두가 이 내용에 만족하시지는 못하겠지만, 최선을 다해서 그분들을 설득을 하고 정책의 취지를 살려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