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올해 세계성장률 -4.9% 또 하향… 한국은 -2.1%”

입력 2020-06-25 04:50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두 달 만에 1.9%포인트나 하향 조정한 -4.9%로 제시했다.

IMF는 24일(현지시간) 발표한 세계 경제 전망 보고서 수정본에서 올해 세계성장률을 -4.9%로 예상했다. IMF는 현재 세계 경제를 “다른 어떤 것과도 견줄 수 없는 위기, 불확실한 회복” 상황으로 평가했다.

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여파와 이로 인한 불확실성 등을 고려한 것으로 지난 4월 14일 전망치(-3.0%)보다 훨씬 더 내려간 수치다. IMF는 앞선 발표에서 1930년대 대공황 이래 최악의 침체라며 경기침체를 공식화한 바 있다.

IMF는 “코로나19 대유행은 올해 상반기 활동에 예상보다 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회복은 이전 예상보다 더 점진적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어 “각국의 올해 1분기 국내총생산(GDP)은 신흥시장 가운데 중국, 선진국 중에선 독일과 일본 등 일부를 제외하면 대체로 예상보다 저조했다”고 설명했다.

IMF는 “소비와 서비스 생산이 현저히 감소했다”며 “대부분의 불황에서 소비는 투자보다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지만 이번에는 소비와 서비스 생산도 눈에 띄게 감소했다”고 부연했다. 두 달 만에 전망치가 다시 크게 낮아진 것과 관련해서는 “4월 이후 나온 자료들은 이전에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더 심각한 침체를 시사한다”고 전했다.

또 “4월 발표 이후 다수의 신흥 시장과 개발도상국에서 코로나19가 급속히 악화했고 경제 활동에 예상보다 큰 차질이 빚어졌다”고 말했다. 선진국의 성장률은 4월 전망보다 1.9%포인트 떨어진 -8.0%로 예상됐고, 신흥시장과 개발도상국도 4월보다 2%포인트 떨어진 -3.0% 성장률로 전망됐다.

올해는 대다수 국가에서 역성장이 예상되지만, 내년에는 세계 경제가 5.4%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선진국은 4.8% 증가가 예상됐다. 미국 4.5%, EU 6.0% 등이다. 신흥시장과 개발도상국은 5.9% 증가 예상치가 제시됐다.

IMF는 보고서와 별개로 30개국을 선정해 이들 국가의 올해와 내년 실질 GDP 전망치를 공개했다. 목록에는 미국과 일본 등 주요 선진국과 대표적 신흥국인 중국 외에 한국도 포함됐다. IMF는 이들 30개국이 세계 경제 생산량의 약 83%를 차지한다고 설명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올해 성장률은 -2.1%로 전망됐다. 이는 4월 발표보다 0.9% 감소했다. 내년 성장률은 3.0%로 예상됐다.

한국은 전반적인 세계 경제의 악화 속에 전망치가 다소 낮아졌지만, 다수의 선진국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작은 감소 폭을 기록했다. 이는 한국 경제의 대외 의존도를 고려할 때 불가피한 측면이 있지만, 추경과 적극적인 재정·통화 정책의 효과 등이 반영돼 상대적으로 조정 폭이 작은 것으로 보인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