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입국자 중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감염 사례가 다시 증가하면서 정부가 항만방역을 강화하고 고위험국가 입국자를 집중 관리하기로 했다. 최근 부산 감천항에 입항한 러시아 선박에서 확진자가 무더기로 나오면서 방심의 결과라는 비판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24일 러시아 국적의 어획물 운반선 ‘아이스스트림호’ 선원들이 코로나19에 감염된 것을 두고 “우리의 방역활동을 다시 한 번 되돌아보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라고 강도 높게 질책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이 선박의 전 선장이 러시아에서 하선한 후 확진된 사실을 선사를 통해 확인했다고 밝혔다. 해당 선박은 선원 21명 중 16명이 확진됐고, 인근 선박에서도 1명이 추가로 감염됐다. 항구의 도선사, 하역작업자 등 접촉자 150명은 격리 중이다.
김강립 중대본 제1총괄조정관은 브리핑에서 “러시아와 같이 검역관리지역이 아닌 곳에서 입항하는 선박은 전자검역을 실시하고 유증상자 발생 등 특이사항이 있을 때만 승선검역을 시행해 한계가 있었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날부터 부산항에 입항하는 러시아 선박에 대해 전수 승선검역을 실시하기로 했다. 승선검역은 검역관들이 직접 배에 올라 검역을 실시한다. 각 선사는 입항 이전 14일 이내에 하선한 선원에 대해 검역당국에 신고해야 하고, 유증상자를 신고하지 않은 선박은 검역법상 입항제한과 함께 최대 500만원의 과태료를 내야 한다. 확진자가 발생해 사회적 비용이 발생하면 선사에 구상권도 청구할 수 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브리핑에서 “러시아 외에도 거의 전세계에서 감염 위험이 증가하고 있어 각 국가별 위험도를 주기적으로 평가해 고위험국가는 항만 검역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해외유입 확진자 증가세는 계속되고 있다. 방대본은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확진자가 전일 대비 51명 증가해 1만2535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지역감염이 31명, 해외유입이 20명이었다.
정부는 외국인 자가격리자 이탈 사례가 없도록 모니터링을 강화하기로 했다. 지방자치단체별로 ‘고위험 국가 관리 책임관’을 지정해 주기적으로 현장점검을 실시하도록 했다. 현재 고위험 국가는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필리핀이다. 이들은 자가격리자의 건강상태와 자가격리 준수여부를 모니터링하게 된다.
방역 당국은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병상 부족 우려가 커지자 격리해제 기준을 변경했다. 앞으로는 무증상 확진자는 확진 후 10일이 지날 때까지 증상이 발생하지 않으면 격리해제된다. 현재는 확진 7일째부터 PCR(유전자증폭) 검사를 실시해 2회 연속 음성일 경우 격리해제된다. 그러나 방역 당국의 임상 데이터 조사 결과 대부분 확진자는 5일이 지나면 전염력이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증상자의 경우 발병 후 10일이 지나고, 최소 3일 동안 해열제 복용 없이 발열이 없고 증상이 호전되면 격리해제된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