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까지 ‘하늘을 나는 자동차’ 드론 택시를 상용화한다는 목표로 정부와 민간 기업이 함께 하는 협의체가 출범했다.
국토교통부는 2025년 드론 택시 상용화를 목표로 진행하는 도심항공교통(UAM·Urban Air Mobility) 사업을 진행할 정책공동체를 만들었다고 24일 밝혔다.
국토부는 이날 서울 국립항공박물관에서 도심항공교통 분야의 40여개 기관과 기업이 참여하는 ‘도심항공교통 민관협의체(UAM 팀 코리아)’를 발족하고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UAM 팀 코리아는 정부가 최근 발표한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로드맵을 실현하기 위한 협의체로, 국토부 제2차관이 위원장을 맡고 현대자동차, 한화시스템, 대한항공, SK텔레콤,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 등 민간기업이 참여한다. 항공우주연구원·항공안전기술원과 지방자치단체, 학계 등도 함께한다.
팀 코리아는 앞으로 지역별 소음·기상·통신 환경 등에 대해 실태조사를 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간에 대한 복합정보를 쌓아갈 예정이다. 또 업계가 건의하는 전문인력 양성 방향에 맞춰 학계에서 마련한 전문 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인적 기반을 만들어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방자치단체는 기반시설과 주민 수용성 문제를 담당할 예정이다. 대학은 중장기 전문인력을, 공공기관은 항공·통신·자격·건설 등에 대한 전문성을 제공할 계획이다.
정부는 미래 첨단 산업이자 차세대 운송수단(모빌리티)으로 떠오른 도심항공교통의 생태계를 업계와 정부, 학계 등이 함께 형성해 나간다는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앞으로 UAM 팀 코리아는 관련 정책과 연구·개발 과제를 발굴하고 2023년 제정을 목표로 하는 UAM 특별법을 함께 마련하기로 했다.
김현미 장관은 “도심항공교통의 현실화를 위해 정부 차원의 로드맵을 마련하고 민관이 대거 참여하는 정책공동체를 만든 것은 우리나라가 최초”라며 “한국형 도심항공교통이 세계 표준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과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