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 내퍼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담당 부차관보는 23일(현지시간) “북한과 여전히 대화할 준비가 돼 있다”며 북핵 문제의 외교적 해결을 위한 한·미 협력을 강조했다.
내퍼 부차관보는 미국의 비영리재단 아시아소사이어티가 개최한 화상 세미나에서 “외교의 문은 열려 있고 (1차 북·미 정상회담이 열린) 2018년 6월로 돌아가고 싶다는 데 대해 한국과 관점이 통일돼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북한과 대화할 준비가 돼 있고 북핵과 미사일 문제를 다룰 외교적 해결에 전념하고 있다”며 “이를 위해 한국과 손을 맞잡고 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내퍼 부차관보는 남·북·미 정상외교가 숨가쁘게 돌아갔던 2018년 주한 미국대사대리를 지냈다.
그는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회고록을 통해 한·미 양국의 북핵 외교를 비판한 데 대해선 따로 언급하지 않았다. 다만 그는 “우리는 북한과의 협상에 대해 한국과 치열하고 생산적이며 깊은 대화를 했고 지금도 그런 상황이 계속되고 있음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면서 볼턴 전 보좌관의 주장을 반박했다. 그러면서 “이는 한·미간 신뢰가 있기 때문이며 양국이 동맹이고 친구이기에 가능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대북 초강경파인 볼턴 전 보좌관의 폭로로 북핵 외교 무용론이 불거지고 한·미 대응에 균열이 생기지 않도록 사전 차단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내퍼 부차관보는 미·중 갈등 속 어느 한쪽을 선택하기 어려운 한국 입장에 대해선 2017년 주한미군 사드(THAAD) 배치 이후 중국이 보복조치에 나섰던 일을 거론했다. 그러면서 “중국이 꼭 한국의 친구가 아닐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