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대남 군사행동계획 보류한 김정은…군사위 예비회의서 결정

입력 2020-06-24 06:20 수정 2020-06-24 07:18

북한 노동당 기관지인 노동신문이 지난 23일 화상회의로 열린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제7기 제5차회의 예비회의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주재했으며 이날 회의에서 대남 군사행동계획들을 보류했다고 24일 보도했다.

“예비회의에는 당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 리병철 동지와 당중앙군사위원회 일부 위원들이 참가했다”고 한 신문은 “예비회의에서는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제7기 제5차 회의에 상정시킬 주요 군사정책 토의안들을 심의했으며 본회의에 제출할 보고, 결정서들과 나라의 전쟁 억제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국가적 대책들을 반영한 여러 문건들을 연구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신문은 “예비회의에서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는 조성된 최근 정세를 평가하고 조선인민군 총참모부가 당중앙군사위원회 제7기 제5차 회의에 제기한 대남 군사행동 계획들을 보류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북한은 김여정 당 제1부부장이 지난 4일 남측이 대북 전단 살포를 방치했다고 비난한 이후 남북관계 총파산을 예고하고 남북 통신망 완전 차단,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조치를 속전속결로 취했다. 김 제1부부장은 또 지난 13일 담화를 통해 다음 행동권을 군에 넘겼다고 밝혔었다.

김 제1부부장의 담화 발표 후 북한군 총참모부 대변인은 지난 17일 발표를 통해 “우리 군대는 당과 정부가 취하는 모든 대내외적 조치들을 군사적으로 철저히 담보할 것”이라며 “대적 군사행동 계획들을 보다 세부화해 빠른 시일 내에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의 비준에 제기하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었다.

총참모부가 비준에 제기한다고 공개적으로 밝힌 대적 군사행동 계획은 금강산·개성공단 군부대 전개와 비무장지대 철수 민경초소(GP) 재진출, 1호 전투근무체계 격상 및 접경지역 훈련 재개, 대남 삐라(전단) 살포 지역 개방 및 군사적 보장 등 네 가지다.

그러나 이날 당중앙군사위원회 예비회의에서 총참모부가 세운 대남 삐라 살포 등 후속계획이 보류되면서 실행에 옮겨지진 않았다. 북한이 당 중앙군사위 예비회의를 연 것은 김정은 집권 이래 처음이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