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 회장이 “시장과 사회로부터 신뢰받는 기업의 성장 스토리를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조적인 장애물을 극복의 대상으로 인식 전환하는 ‘딥 체인지’도 요구했다.
SK그룹은 최 회장이 23일 경기 이천 SKMS연구소에서 열린 2020 확대경영회의에서 고객과 사회의 신뢰를 얻는 고유의 기업가치 성장 스토리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수년전부터 재무적 가치 뿐만 아니라 환경 문제 등 사회적 가치까지 고려하는 기업이 되야 한다고 강조해왔다. 이날 발언은 이런 연장선상에서 신뢰받는 기업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걸 환기시킨 것으로 해석된다.
최 회장은 “우리가 키워가야 할 기업가치는 단순히 재무성과·배당정책 등 경제적 가치 만이 아니라 지속가능성·ESG(환경ㆍ사회ㆍ지배구조)·고객신뢰와 같은 사회적 가치, 지적재산권·일하는 문화와 같은 유·무형자산을 모두 포괄하는 토털밸류(Total Value)”라고 정의하고 “각 사 CEO들은 이 같은 기업가치 구성 요소를 활용해 시장, 투자자, 고객 등과 소통하고 신뢰를 확보할 수 있는 자신만의 성장 스토리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확대경영회의 내내 CEO 역할의 중요성을 여러 차례 언급했다.
최 회장은 “그동안 우리의 성장을 가로막아 왔던 구조적 한계를 어쩔 수 없는 ‘주어진 환경’이 아니라 ‘극복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발상의 전환이 이뤄져야 딥체인지(Deep Change∙근본적 혁신)도 가능하다”면서 “무엇보다 CEO들은 이 같은 구조적 장애물을 해결하기 위한 자신만의 성장 스토리를 준비하고 출사표를 던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 회장은 이어 “CEO들이 중장기 비전(되고 싶은 나)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거둔 경제적 성과를 시장에 알리는 데 그치지 않고 여러 이해관계자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하고, 신뢰를 얻어야 모두가 공감하는 스토리가 완성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주주, 기관투자자, 연기금, IB 등 파이낸셜 소사이어티를 구성하는 여러 이해관계자는 물론 고객과 사회 등과 긴밀하게 소통하면서 신뢰를 확보하는 스토리텔러로서의 CEO 역할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조대식 의장도 최 회장에 앞선 오프닝에서 “글로벌 선진 기업은 고유의 강점을 내세워 신성장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고 신생 스타트업은 획기적 신기술로 높은 수준의 기업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반면 SK는 기존 사업 영역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면서 절실함과 실행력 부족을 그 원인으로 진단했다.
이어 “유망사업을 발굴하고 비즈니스 모델을 혁신해 가시적이고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빠르고 과감하게 만들어 나가자”고 주문했다.
올해 확대경영회의는 집단지성을 활용, 기업가치 제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패널토론 방식으로 진행됐다.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 두기 방침을 감안, 최 회장과 CEO 등 최고 경영진들만 오프라인으로 개최된 패널 토론에 참석하고 다른 경영진들은 온라인으로 회의를 지켜봤다.
패널토론에서 SK CEO들은 파이낸셜 스토리에 기반해 기업가치를 제고할 수 있는 경영전략과 실천방안을 모색하면서 토론을 이어갔다. 최 회장도 이날 ‘파이낸셜 스토리와 CEO 역할’을 주제로 한 토론을 직접 주재했다.
이날 열린 확대경영회의에는 최 회장을 비롯해 최재원 SK 수석부회장, 최창원 SK디스커버리 부회장, 조대식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및 7개 위원회 위원장, 주요 관계사 CEO 등 30여명이 참석, 기업가치 제고 방안을 집중 토론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