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가 지난해 600만 가구를 넘어섰다. 다만 지난해 1인 가구 고용률이 하락해 1인 가구 40%는 미취업 상태인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이 23일 발표한 ‘2019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고용동향’ 내용이다.
1인 가구는 2015년 500만을 돌파한 이후 매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기준 1인 가구는 603만9000 가구로 전년(578만8000 가구)보다 25만1000 가구(4.3%) 증가했다. 10만대를 이어오던 증가폭도 25만대로 더 커졌다.
1인 가구는 전체 가구 2018만3000 가구 중 29.9%를 차지한다. 이는 1년 전보다 0.7%포인트 상승한 비율이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청년층이 분가한 뒤 결혼을 늦게 하는 만혼 현상과 고령화 속 사별 등으로 1인 가구 증가폭이 크게 늘어났다”고 분석했다.
다만 전체 1인 가구 중 60.8%만이 일자리를 갖고 있다. 40% 가까이 미취업 상태인 셈이다. 지난해 1인 가구 고용률은 전년보다 0.3%포인트 하락했다.
또 취업자인 367만1000 1인 가구 중 임금근로자가 291만2000 가구(79/3%), 비임금근로자가 20.7%를 차지했다.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 비중이 68.4%로 전년보다 1.1%포인트 증가했다. 임금근로자 중 11.7%가 100만원 미만 임금을 받았고 100~200만원 미만은 21.3%였다. 1인 가구 취업자 3명 중 1명은 200만원 미만의 저임금 취업자인 것이다.
성별로는 남자가 208만1000 가구(56.7%), 여자가 158만9000 가구(43.3%)였다. 연령별로는 50~64세가 101만2000 가구(27.6%)로 가장 많았다. 이어 30대(83만 가구·22.6%), 40대(71만5000 가구·19.5%), 15~29세(68만7000가구·18.7%), 65세 이상(42만7000가구·11.6%) 순이었다.
1인 가구 취업자가 가장 많이 종사하는 산업은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39.7%)이었다. 도소매·숙박음식점업(19.7%)이 그 뒤를 이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