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언론의 자조 “수출규제, 타격은 일본기업이 입었다”

입력 2020-06-23 11:21
지난해 7월 8일 서울 은평구의 한 식자재 마트에 일본 제품을 팔지 않는다는 안내문이 걸려 있다. 연합뉴스

일본이 일제 강점기 강제징용 배상 판결에 반발해 한국에 대한 수출 규제 카드를 꺼내든 지 1년이 되는 가운데 정작 피해를 본 것은 일본 기업이라는 현지 매체의 자조 섞인 지적이 나왔다.

23일 도쿄신문 지면에는 ‘타격은 일본 기업에’라는 제목의 서울 특파원 칼럼이 실렸다. 칼럼은 한국에 대한 수출 규제에 대해 “오히려 일본 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하며 “공급 불확실성이 높아져 한국 경제가 큰 타격을 입는다는 우려도 있었지만, 업계 세계 최대인 삼성전자를 비롯해 반도체 생산에 지장이 생기지 않았다”고 했다.

한국 기업들이 수출 규제 조치에 맞서 일본 부품·소재 등의 의존도를 줄이고, 수출 판로를 다양화하면서 역으로 일본 기업이 피해를 보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중소상인자영업자총연합회 회원들이 지난해 7월 15일 서울 종로구 옛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일본제품 판매중단 확대선포 기자회견'에 일본의 수출규제를 규탄하는 피켓을 들고 있다. 연합뉴스

도쿄신문은 수출 규제 강화를 계기로 한국에서 일본 제품 불매 운동이 장기화하고 닛산자동차나 유니클로와 같은 계열인 패션 브랜드 지유(GU)가 한국에서 철수하는 사태도 일어났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일본 정부 대응에서 가장 문제는 수출관리를 강화한 배경에 전 징용공(징용 피해자) 소송이 있다는 점이다. 한국 정부의 대응을 촉구하려고 한 의도를 이해할 수 있지만, 경제의 ‘급소’를 찌르는 방식이 올바른 것이었는지 의문이 강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