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75% ‘노동안전지킴이’사업 ‘잘한 결정’

입력 2020-06-23 10:26 수정 2020-06-23 10:46

경기도민 75%가 경기도가 산업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건설·제조현장을 상시단속하는 ‘노동안전지킴이’ 사업을 ‘잘한 결정’이라고 응답했다.

도민의 76%는 본인 또는 가족에게 산업재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답했다.

경기도는 지난 4월부터 시범적으로 도내 산재 다발 10개 시·군을 대상으로 산업안전보건기준 위반, 안전재해 예방조치 위반, 안전관리자 배치 여부 등에 대한 점검 활동을 벌이는 10명의 ‘노동안전지킴이’를 운영하고 있다.

경기도는 이처럼 도가 펼치는 ‘노동안전지킴이’ 사업과 함께 ‘산업재해’ 관련 여론조사를 지난 4일부터 6일까지 도민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23일 결과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도민들은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산재에 대해 사업주(49%)가 ‘책임이 가장 크다’고 했다. 이어 정부·지자체(27%), 노동자(17%) 순이었다.

산재발생을 줄이기 위해 개선해야 할 사항으로는 ‘위험업무 외주’하청 등 구조적 요인(31%)’을 가장 우선으로 꼽았다. 다음으로는 관계법령·관리감독 미흡 등 제도적 요인(22%), 안전교육 부족·안전관리 불량 등 관리적 요인(18%)이었다.

이번 여론조사 응답자 중 최근 1년 내 산업현장 노동경험자는 34%를 차지했다. 이들의 과반은 현장에서 산재예방 조치가 ‘잘 이행되지 않는다’고 체감했다.

이들 노동경험자는 ‘잘 이행되지 않는다’는 부분에 대해 각각 정부·지자체의 현장점검(63%), 노동자 산재예방 교육 및 훈련(60%), 중대재해 발생 시 사업주 처벌(57%), 사업주 인식개선 및 산업현장 안전문화 정착노력(57%), 안전관리자 배치 등 산재예방조치(54%)를 지적했다.

류광열 도 노동국장은 “설문조사 결과 실제 현장에서 산재예방 조치가 잘 지켜지지 않는다고 지적하는 현업 노동자들이 많았다”며 “경기도는 오는 29일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국회토론회’를 개최하는 한편 앞으로 노동안전지킴이 대폭 증원 등 다양한 산업재해 예방 종합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경기도가 여론조사기관인 ㈜리얼미터에 의뢰해 지난 4일부터 6일까지 3일간 19세 이상 도민 2000명을 대상으로 자동응답조사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신뢰수준은 95%, 표본오차 ±2.2%p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