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LG→SK…정의선 동선에 ‘그린 뉴딜’ 답 있다

입력 2020-06-22 17:11 수정 2020-06-22 17:30
정의선 현대차 수석부회장(왼쪽)과 구광모 LG그룹 대표가 22일 LG화학 오창공장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현대차 제공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이 구광모 LG그룹 회장과 함께 전기차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정 부회장은 전기차 배터리 관련 협력을 위해 지난달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만났고 조만간 최태원 SK 회장도 만날 것으로 알려졌다. 전기차 배터리는 현 정부가 추진하는 한국판 뉴딜 중 ‘그린 뉴딜(Green New Deal)’의 핵심 분야다. 공교롭게 미래 먹거리를 확보 하기 위한 4대 그룹 수장들의 의기 투합이 그린 뉴딜로 귀결되는 모양새다.

정 수석부회장과 구 회장은 22일 오전 충북 청주 LG화학 오창공장을 방문했다. 이들은 전기차 배터리 개발 현장을 둘러보고 미래 배터리에 관한 의견을 나눈 뒤 구내식당에서 점심을 함께했다. 현대차그룹에서는 김걸 기획조정실 사장, 서보신 상품담당 사장, 박정국 현대모비스 사장 등이 방문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차세대 고성능 배터리 개발 현황을 살펴보고 개발 방향성을 공유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LG그룹에선 구 회장, 권영수 부회장, 신학철 LG화학 부회장, 김종현 전지사업본부장 사장, 김명환 배터리연구소장 사장 등이 맞았다. 현대차 경영진은 LG화학이 개발 중인 장수명(Long-Life) 배터리와 리튬-황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등 미래 배터리의 기술과 개발 방향성을 듣고 협력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정의선 현대차 수석부회장이 악수하는 모습. 연합뉴스

장수명 배터리는 현재 배터리보다 5배 이상 오래 사용해도 성능이 유지된다. 전고체 배터리는 내부의 액체 전해질을 고체 전해질로 변경해 안전성이 향상된다. LG화학은 현대기아차가 생산하는 전기차 코나EV 등에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다. 또 현대차가 내년 양산 예정인 전기차 전용 플랫폼(E-GMP) 기반 전기차의 2차 배터리 공급사로도 선정됐다.

1차 공급사는 SK이노베이션이다. SK이노베이션의 전기차 배터리는 기아차가 생산하는 전기차 쏘울EV 등에 탑재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정 수석부회장은 곧 최태원 SK 회장을 만나 관련 논의를 진행할 것으로 전해진다.
최태원 SK 회장이 올해 신년회에서 정의선 현대차 수석부회장과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 수석부회장이 광폭 행보를 보이는 것은 우선 사업 면에서 전기차 시장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서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현대차는 2025년까지 모두 44종의 친환경차를 선보이고, 2025년 전기차 56만대를 팔아 세계 3위 업체로 올라서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기아차는 글로벌 전기차 점유율을 지난해 2.1%에서 2025년 6.6%까지 끌어 올린다는 계획이다.

또 미래 먹거리를 고민하면서 정부의 그린 뉴딜 정책에 호응하려는 각 그룹의 이해가 일치하기 때문이다. 재계 관계자는 “코로나19로 경제적 타격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4대 기업 총수가 공개적으로 회동하는 것은 시장에 긍정적 신호를 주고, 침체된 사회 분위기를 환기하는 데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태원 SK 회장, 구광모 LG 회장, 정의선 현대차 수석부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4대 그룹 총수가 지난 1월 신년회에서 한 테이블에 나란히 앉아 있다(왼쪽부터). 연합뉴스

업계는 전기차 ‘배터리 동맹’이 국내 기업들이 치열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전망한다. 세계 주요 업체들이 전기차로 전환에 속도를 내면서 배터리 확보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어 조만간 배터리 대란이 올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위기 극복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그린 뉴딜을 포함한 한국판 뉴딜을 추진하고, 2025년까지 76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그린 뉴딜은 그린과 뉴딜의 합성어로 지속가능한 경제 발전 정책을 뜻한다.

박구인 권민지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