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이달 들어 처음으로 10명대를 기록했지만, 정부는 여전히 ‘위기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수도권과 대전에선 집단감염 여파가 계속 이어지고 있고 해외 유입도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22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17명을 기록했다. 연일 30~50명 수준을 유지하던 하루 확진자 수가 27일 만에 10명대로 떨어진 것이다.
하지만 방역 당국은 여전히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판단이다. 박능후 중앙재난대책본부(중대본) 1차장은 “코로나19의 지역감염과 해외유입을 동시에 관리해야 하는 위기 상황”이라고 말했다. 수도권과 대전의 집단감염이 호남까지 확산하는 상황에서 해외유입 사례도 1주 만에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지난 8~14일 48명이었던 해외유입 확진자 수는 15~21일 90명으로 늘었다.
무증상으로 입국 후 지역사회에서 격리하던 중 코로나19로 확진되는 외국인이 잇따라 나오면서 정부는 23일부터 파키스탄과 방글라데시 등에 신규비자 발급을 제한키로 했다. 정부는 이들 외에도 입국자 대비 확진자 수가 많은 국가에 대해 입국제한 등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수도권과 대전의 코로나19 집단감염도 확산세를 이어갔다. 이날 정오까지 ‘리치웨이’(서울 관악구)와 ‘NBS파트너스’(경기도 성남), ‘대자연코리아’(서울 구로구) 등 수도권 3곳과 ‘힐링랜드23’, ‘자연건강힐링센터’, ‘홈닥터’ 등 대전 3곳의 방문판매업체에서 총 254명의 환자가 발생했다. 방판업체 관련 확진자 중 60세 이상의 고령층이 55%다.
정은경 방대본부장은 “방판업체에서 사우나, 의료기관, 요양원 등을 거쳐 2~3차 전파가 진행되고 있다”며 “수도권을 기준으로 1차 유행이 2~3월에 있었고 5월 황금연휴로 촉발된 2차 유행이 진행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전날 ‘고위험시설’로 지정된 방판업체는 23일 오후 6시부터 마스크 착용 등의 ‘강화한 방역수칙’과 QR코드 기반의 전자출입명부 시스템을 의무화해야 한다.
중증환자를 위한 병상 확보를 위해 정부가 입·퇴원 기준 완화를 예고한 것을 놓고 일각에선 경증 감염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경증환자가 지역사회 활동 중 집단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는 지적이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전염력이 있는 상태에서 퇴원했다가 지역사회에서 전파하면 유행이 지금보다 더 커질 수 있다”며 “전염력이 없는 상태라는 기준을 제대로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경증환자를 수용할 인프라 확충이 동반돼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현재 경증환자를 위한 생활치료센터는 서울시와 경기도가 각각 1곳씩 운영하고 있다. 윤태호 중대본 방역총괄반장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공동으로 사용할 생활치료센터 1곳을 이번 주중에 추가 운영할 예정”이라며 “대전을 비롯한 충청권에서도 센터를 운영할지 여부를 논의 중”이라고 전했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