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22일 존 볼턴 전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자신의 회고록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 정책을 ‘조현병 환자’에 비유한 것에 대해 “본인이 그럴 수 있는 것 아닌가”라고 응수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날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볼턴 전 보좌관의 회고록 내용을 두고 “정상 간 협의 과정을 밝히지 않는다는 외교 관계의 기본을 망각한 것으로, 하나하나 사실관계를 다투는 것조차 부적절하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한국이나 미국뿐 아니라 대통령의 참모는 비밀준수의 의무가 있는 것으로 안다”며 “더욱이 볼턴 전 보좌관은 일종의 허위사실을 (회고록으로 펴냈으니) 미국 쪽이 판단해서 조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볼턴 전 보좌관이 문 대통령의 비핵화 구상에 대해 ‘조현병 같은 생각(schizophrenic idea)’ 이라고 원색적으로 비난한 것에 대해서는 “자신이 판단해야 할 문제인 것 같다. (볼턴 전 보좌관) 본인이 그럴 수 있는 것 아닌가”라고 답했다.
볼턴 전 보좌관의 회고록 ‘그 일이 벌어진 방’은 23일 출간 예정이지만 원고를 미리 입수한 미 언론들의 보도가 이어지면서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책에는 1차 북미 정상회담 아이디어를 처음 제안한 것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아니라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이라는 주장, 지난해 6월 30일 남북미 정상 회동에 문 대통령이 동행하려 요청하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거절했다는 주장 등이 담겼다.
이 관계자는 “저희도 회고록 전체를 보지 못했다. 어느 부분이 관련돼 있는지 내용은 파악하고 있다”고 했다. 다만 “작년 판문점회담 당시 상황을 화면이나 보도를 통해 살펴보면 볼턴 전 보좌관의 역할이 뭐였는지 저희가 말씀드리지 않아도 확인하실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볼턴 전 보좌관은 남북미 회동에 참석하지 않은 만큼 정상의 협상 내용을 자세히 알기 어렵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그는 당시 몽골 울란바토르 일정에 참석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