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북·미 협상 과정을 공개한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의 회고록에 대해 “정부 간 상호 신뢰에 기초해 협의한 내용을 일방적으로 공개하는 것은 외교의 기본 원칙을 위반한 것으로, 향후 협상의 신의를 매우 심각하게 훼손할 수 있다”며 “미국 정부가 이러한 위험한 사례를 방지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을 기대한다”고 전했다고 22일 청와대가 밝혔다.
정 실장은 이날 윤도한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을 통해 전달한 입장에서 “볼턴 전 보좌관이 그의 회고록에서 한국과 미국, 그리고 북한 정상들 간의 협의 내용과 관련한 상황은 자신의 관점에서 본 것을 밝힌 것”이라며 “정확한 사실을 반영하고 있지 않다. 또 상당 부분 사실을 크게 왜곡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런 입장은 미국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 21일 전달됐다.
윤 수석은 볼턴 전 보좌관이 회고록을 통해 협상 과정을 누설한 것에 대해 “이러한 부적절한 행위는 앞으로 한미동맹 관계에서 공동의 전략을 유지 발전시키고 양국의 안보 이익을 강화하는 노력을 심각하게 저해할 수 있다”고 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기자들을 만나 “정상 간 대화 또는 외교 관계에 있어서의 협의 과정 이런 것들에 대해서 밝히지 않는 것이다. 기본을 망각했다고 하는 것이 바로 이런 것”이라며 “볼턴이 여러 가지 얘기했지만, 그런 부분들에 대해서 하나하나 사실관계를 다투는 것조차 부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했다.
이 관계자는 미국 정부의 조치와 관련해 “통상적으로 대통령의 참모들이 그 직을 수행하면서 비밀준수 의무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미국에서 일어난 일이니까 미국 쪽에서 판단해서 할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청와대는 또 볼턴이 문 대통령을 향해 ‘조현병 환자 같다’고 폄훼한 대목에 대해서도 “본인이 그럴 수도 있는 게 아닌가 싶다”고 맞받아쳤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