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선 현대차 수석부회장과 구광모 LG그룹 회장이 전기차 협력 강화방안을 논의한다. 두 사람의 단독 회동은 이번이 처음으로, 가시적인 성과로 연결될지 관심이 집중된다.
22일 현대차그룹과 LG그룹에 따르면 정 수석부회장과 구 회장은 이날 오전 LG화학 오창공장을 방문해 생산시설을 둘러보고 오찬을 함께 한다.
현대차그룹 경영진은 LG화학이 개발 중인 장수명(Long-Life) 배터리와 리튬-황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등 미래 배터리의 기술과 개발 방향성을 듣고 협력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장수명 배터리는 현재 배터리보다 5배 이상 오래 사용해도 성능이 유지된다.
리튬-황 배터리는 양극재로 황탄소 복합체, 음극재로 리튬 메탈 등 경량 재료를 사용해서 무게 당 에너지 밀도가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2배 이상 높고, 희귀 금속을 사용하지 않아 가격경쟁력도 뛰어나다.
이 배터리가 전기차에 적용되면 주행거리를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고체 배터리는 내부의 액체 전해질을 고체 전해질로 변경해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LG화학은 리튬이온 배터리의 양산 공정을 활용할 수 있는 타입의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에서는 알버트 비어만 연구개발본부 사장과 상품담당 서보신 사장 등이 동행한다. 삼성SDI 공장 방문 때와 같은 구성이다.
현대차와 LG화학은 전기차 사업에서 협력관계다. LG화학은 현대차 전기차에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으며 현대기아차 전기차 전용플랫폼 2차 배터리 공급사로도 선정됐다. 1차 공급사는 SK이노베이션이다.
이번 회동은 현재 협력 관계를 재확인하고, 미래 전기차 배터리 사업에서 협업할 수 있는 부분을 모색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전 세계 자동차 업체들이 전기차로 전환을 가속하면서 배터리 수급이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전기차 등 미래차는 ‘한국판 뉴딜’로 정부가 육성하는 산업이기도 하다.
정부가 보내는 마중물에 우리나라 대표 기업들이 협력관계를 돈독히 하며 호응하는 모습이다.
정 부회장은 지난달엔 삼성SDI 천안공장에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만나 차세대 배터리에 관한 논의를 했고 조만간 최태원 SK그룹 회장도 만날 것으로 알려졌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